웨어러블 기기가 가고 임플란트 컴퓨팅이 온다’
임플란트 컴퓨팅은 몸속에 전자 세포를 이식하거나 전자문신 등 정보기술(IT)을 신체에 입혀 신체기능을 확장하는 컴퓨팅이다.
모토로라모빌리티 등 글로벌 기업과 다양한 마이크로 컴퓨팅 기업 및 바이오해커가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전자문신, 임플란트 세포 이식, 전자알약 등으로 신체의 역량을 확대한다는 목표 아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T엔지니어이자 바이오 해커인 브라이언 맥에보이는 인체 나침반으로 불리는 임플란트 세포 '사우스포'를 개발했다. 피부 밑에 이식하면 방향감각을 높일 수 있다. 더 이상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힘들게 길을 찾지 않아도 된다. 인체에 무해하다는 점도 입증됐다는 게 멕에보이의 설명이다. IT는 인간의 여섯 번째 감각(Sixth Sense)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상과학 영화에나 등장하던 체내 칩 이식이 일상화 될 전망이다. 9일 CNN은 몸 속에 전자 세포를 이식하는 임플란트 컴퓨팅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모토로라모빌리티 등 글로벌 기업과 다양한 마이크로컴퓨팅 기업 및 바이오 해커가 기술 개발의 주역이다. 전자문신, 임플란트 세포 이식, 전자 알약 등으로 신체의 역량을 확대한다는 목표 아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토로라는 최근 RFID 칩을 내장한 내복용 알약을 개발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약을 먹으면 체내에 들어간 칩이 각종 건강관련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스마트폰117과 연결된다. 궁극적으로 이 회사는 스마트폰 같은 기기가 없어도 체내에 이식된 칩이 해당 기기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앞서 모토로라는 사람의 식도에 전자문신을 새기는 방식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포함해 구글글라스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즉시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존 로저스 사우던캘리포니아 대학 교수가 개발해 출시한 전자문신 ‘바이오스탬프’를 몸에 새기면 심장박동과 체온, 체수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IT기술은 인체의 세포도 대체한다. IT엔지니어이자 바이오 해커인 브라이언 맥에보이는 ‘인체 나침반’으로 불리는 임플란트 세포 ‘사우스포’를 개발했다. 사우스포는 티타늄 세포로 둘러싸인 매우 얇은 실리콘 껍질로 제작돼 있으며 피부 아래에 이식하면 방향 감각이 좋아진다. 사람이 북쪽을 향해 서면 피부에 약한 진동이 오는 방식이다. 맥에보이는 “더 이상 스마트폰 지도를 보고 힘들게 길을 찾지 않아도 되며 인체에 무해하다는 점도 입증됐다”며 “IT기술은 인간의 여섯 번째 감각(Sixth Sense)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아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임플란트 헤드폰도 나올 전망이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와 연동돼 음악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끼고 있지 않아도 자동으로 머릿 속에 음악이 울려퍼지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임플란트 컴퓨팅 기술은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장애를 고치는데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시각 장애인의 눈에 시력을 교정하는 임플란트 망막을 넣거나 청력을 복원하는 작은 칩을 귀에 이식하는 식이다. 관련 임플란트 제품은 이미 출시된 상태다. 지난 해 6월에는 청각장애를 갖고 있던 3살짜리 아기 그레이슨 클램프가 임플란드 뇌세포로 청력을 회복했다.
알츠하이머 등 노인성 퇴행 질환도 전자 뇌세포로 고친다. 사우던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은 앞으로 2년동안 임플란트 뇌세포가 사람의 줄어든 뇌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CNN은 “일상적인 건강관리 모니터링 정도는 수년내 전자문신이 대체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정미나기자 | mina@etnews.com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출처; http://www.etnews.com/20140409000073
==========================================================================================================================
================================================================================================================================
의학-전자 '세포벤치연구센터' 설립 | |
|
삼성서울병원-삼성전기-KAIST, 생체모사 세포칩 공동연구
국내 의학과 전자산업간 기술 융·복합을 통해 의료바이오 신 사업을 창출하기 위한 세포벤치(Bench)연구센터가 설립돼 주목된다.
▲세포벤치연구센터 설립(앞열 왼쪽 세번째 서남표 카이스트 총장, 기념비 오른쪽 첫번째 고병천 삼성전기 부사장, 두번째 임효근 삼성서울병원 진료부원장) |
KAIST 정문술 빌딩에서 열린 이날 개소식에는 삼성전기 기술총괄(CTO) 고병천 부사장을 비롯, KAIST 서남표 총장, 삼성서울병원 임효근 진료부원장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삼성서울병원-삼성전기-KAIST 등 3개기관이 협력해 구성된 세포벤치연구센터는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영호 교수가 센터장을 맡아 생체모사 세포칩(Bio-inspired Cell Chip)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항암제 발굴 및 임상적용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국내에서만 약 40만명에 달하고 개인별로 큰 편차를 보이는 암에 대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삼성서울병원의 임상적용 기술 및 삼성전기의 첨단소재·장비기술, KAIST의 바이오소자 기술 등을 결합, 의료 바이오의 신 분야를 개척할 계획이다.
조영호 세포벤치연구센터장은 "초기에는 한국인 사망원인 1위인 폐암용 항암제 세포칩 개발을 목표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5대 고형 암으로 확대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KAIST 서남표 총장은 환영사에서 "전자산업 및 학계, 의료계의 최고 전문가들이 세포벤치연구센터에서 서로의 강점 기술을 융합·복합해 혁신적인 맞춤형 항암치료 기술을 발굴, 과학기술의 새로운 장을 개척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삼성전기 기술총괄 고병천 부사장은 "바이오 세포칩 기술개발은 그간 IT(정보기술)분야에 주력해 온 삼성전기에게도 새로운 사업분야로 진입하는 의미 있는 도전"이라며 "삼성전기, KAIST, 삼성서울병원 등 최고 인력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칩 분야의 원천기술을 확보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도 간편하고도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년 평화 조약과 아마겟돈전쟁 (1) | 2014.09.18 |
---|---|
예장 합동측 98회 결의안 (0) | 2014.09.18 |
[스크랩]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회에 등장한 짐승의 표 (0) | 2014.09.18 |
[스크랩] 호루스의 제단으로 꾸며진 교황의 시복식 행사장! (0) | 2014.09.11 |
[스크랩] 하늘의 모후를 숭배하는 `교황 프란치스코` (0) | 201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