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차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계획 확정 발표 | |
자립능력 개발에 초점... 4개분야 58개 과제 | |
기초장애연금, 3%의무고용률 확정, 생활시설 소규모화 방침 | |
| |
정부는 6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정부종합청사에서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해 제3차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계획’을 심의ㆍ확정했다. 같은 날 오후 2시 확정안 브리핑을 진행한 조원동 국정운영실장은 “앞으로 5년간 장애인정책 청사진은 장애인 삶의 질 개선을 비전으로 삼았다”며 이어 “장애인 스스로 자립의지와 잃었던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계획안은 크게 ▲교육 문화 ▲경제활동 ▲복지 ▲사회참여 분야 등 4개 분야에 걸쳐 58개 과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계획안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매년 연도별 추진실적을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교육 ▶유치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확대실시하고, 고등학교이상의 교육지원을 위해 ‘도우미 제도’를 활성화 해 현재 2천명 수준을 2012년까지 2천300명 수준으로 확대한다. 또 장애인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학령기를 놓친 장애성인들에게 교육혜택이 돌아가도록할 방침이다. 문화 ▶시ㆍ청각 장애인들의 문화접근성 확보를 위한 서비스 확대 실시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방송 4사의 경우 2012년까지 전체방송의 90%이상을 자막방송을 실시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 해설방송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주거 ▶현재 대규모 장애인시설을 소규모화 하고 복합타운형태의 시설로 개편해 지역사회로의 편입을 유도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 및 전국 공통 서비스 최소기준을 마련해 장애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다가구주택 매입 임대나 기존주택을 전세로 하는 방식으로 2012년까지 현행 1만 세대에서 2만 세대까지 늘릴 수 있도록 물량을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복지서비스 확대 ▶장애인판정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민연금공단(공단형), 한국장애인개발원(민간기관형), 대전광역시 동구(지자체형) 등 3개소에서 진행 중인 장애판정체계 변경을 위한 시범사업을 오는 2010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조원동 국정운영실장은 “외과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일할수 있는 능력이나 의욕을 전부 고려할 수 있는 판정시스템으로 바꾸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애인 장기요양보장제도도 2010년 시행을 목표로 장애계의 의견수렴과 연구 활동이 진행중이다. | |
장경민 기자 [블로그/이메일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초노령연금(2008년 시행) (0) | 2008.08.08 |
---|---|
[스크랩] 장애인복지서비스 - 심리재활, 사회재활 (0) | 2008.08.08 |
[스크랩]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 (0) | 2008.08.08 |
[스크랩] 한국의 장애인 복지 (0) | 2008.08.08 |
[스크랩] 프로이드의 인성의 체계 (0) | 200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