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심리검사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교사는 심리검사의 특성, 구비조건, 제작과정, 실시 및 채점, 그리고 해석 및 활용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심리검사는 심리+검사로, 보이지 않는 특성을 과학적으로 재는 모순적 결함을 갖고 있다. 심리와 관련된 행동 특성을 재는 것이지, 심리 그 자체를 묘사하는 것은 아니다.
심리검사에 대한 이런저런 것을 동아대학교 조규판 교수님의 명쾌한 강의로 심리검사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되었다.
제1장: 심리검사의 개관
제2장: 심리검사를 위한 기초통계: 변인, 측정과 척도, 모집단,모수치와 추정치, 기술통계와 추리통계, 집중경향치, 분산도, 상관
제3장: 심리검사의 구비조건 I : 객관도, 실용도, 실뢰도
제4장:심리검사의 구비조건II : 타당도
제5장: 심리검사의 규준점수 : 원점수와 규준점수,표집방법, 정규분포곡선의 특성, 규준점수의 유형
제6장; 심리검사의 제작과정 : 심리검사의 표준화, 표준화 검사의 제작과정과 방법
제7장; MMPI
*과제: MMPI 결과분석
출처 : 지리사랑
글쓴이 : 독도는 우리땅 원글보기
메모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 (0) | 2008.08.14 |
---|---|
[스크랩] 학교진로상담 (0) | 2008.08.14 |
[스크랩] 나와 배우자(파트너)의 욕구강도 프로파일 (0) | 2008.08.14 |
[스크랩]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0) | 2008.08.14 |
[스크랩] 융의 분석 심리학 (0) | 2008.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