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스크랩] 학교진로상담

하늘이슬 2008. 8. 14. 15:02

  우리나라에서는 진로상담이 입시지도의 일환으로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정보제공이나 적성에 맞는 진학지도에 치우쳐 왔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적성은 어떤 과제나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수한 능력이나 잠재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재미있게도 '적당한 성적'인 것이다.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진학과 취업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비효율성은 이미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로지도, 진로상담은 형식적이고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고학교에서 각종 표준화 검사를 하고 있지만, 검사결과에 대한 해석과 진로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다. 형식적으로 검사를 하고,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없이 학생들에게 나누어지는 실정이다. 검사의 목적이나 내용을 모르니까, 전문성 결여로 담임교사는 어떻게 이 자료를 활용하여 상담할 것인지 고민하게 되는 것이다.

  진로발달단계별로 적합한 표준화검사의 종류나, 비교할 만화 표준화검사가 제시되어 있으면 좋겠는데, 아쉽게도 아직은 메뉴얼이 정해진 것이 없단다.

  그러면, 결국 각급학교에서는 어떻게 표준화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을까? 물론 체계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결과해석까지 철저히 하는 학교도 있겠지만 대다수의 학교는 관례에 따라, 예산에 따라 채택하고 실시하고 해석없이 결과지만 나누어주고 있는 것같다.

 중요한 진로발달단계에 있는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닌지....

 제대로된 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 알차게 운영되었으면 좋겠다.

 곧, 고1은 집중이수과정 선택을 해야되는데, 어떻게 하는 것인지 정보제공도, 상담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냥 그렇게 또다시 부정확한 정보 지식과 부모의 지시되로 결정하겠지....어느 과정이 대학진학에 유리할까? 취업은?  정작 설문조사를 해보면 황당한 일들도 많이 일어난다. 알고 있는 직업을 적어보라면 과연 몇가지를 적을 수 있을까?

 

제1장 진로상담의 개요

제2장 진로선택 이론

제3장 진로발달 이론

제4장 직업세계의 이해

제5장 직업훈련과 자격제도의 이해

제6장 의사결정의 이해

제7장 진로정보의 활용

제8장 검사의 활용

제9장 진로상담의 과정

제10장 장애인 진로상담

제11장 컴퓨터를 활용한 진로상담

제12장 직업카드의 활용

제13장 초등학교 진로지도 프로그램

제14장 중학교 진로지도 프로그램

제15장 고등학교 진로지도 프로그램

출처 : 지리사랑
글쓴이 : 독도는 우리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