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와 청소년 문제
근래에 들어와 청소년 문제나 비행의 주요 원인을 학교교육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들이 증가하고 있다. 즉, 사회변동과 더불어 학교의 구조가 점차 형식화․관료화 되면서, 그 기능에 있어서도 본래적 기능보다 부차적 기능이 강조됨으로 인하여 학교교육이 여러 가지 병리현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이러한 병리 현상이 오늘날 증가하는 학생 청소년 범죄 및 비행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의 본래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이 단계적으로 마련되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대중사회와 청소년 문제
현대 사회가 대중사회라는 것은 산업화에 따른 산업 및 경제구조의 변화, 정치 및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대두된 인간소외, 획일화, 대중화 현상을 강조하는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해결방안으로는 방송의 공영화, 유해환경에 대한 법규정비 및 지속적 규제, 시민단체의 유해환경 정비활동, 학교․지역사회․직장 등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이고 주체성있는 문화활동의 전개가 제시될 수 있다.
청소년의 정서 장애
정상범위 내의 정상적인 변화와 평형이 깨지고 이유없는 불안이 지속되거나, 특별히 외부적인 상황이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걱정하고 근심하며, 우울에 빠진다면 그것은 부적절하고, 그 원인으로서 현실에 기반을 두지 않고 내적인 심리적 상태와 깊은 관련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상태를 정서장애라 할 수 있다.
감정상태라면 즐거움과 슬픔, 분노와 평화, 안정과 불안정, 불안과 공포, 애정과 증오 등의 매우 기본적인 정서들을 얘기하며 이는 아동기에 경험을 통하여 통제능력이 생기므로 정상적인 청소년이라면 어느 정도의 기복이 있어도 정상적인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청소년의 흡연문제 (0) | 2009.01.14 |
---|---|
[스크랩] 청소년 기타총문제 (0) | 2009.01.14 |
[스크랩] 현대 사회와 청소년 문제 (0) | 2009.01.14 |
[스크랩] 일하는 청소년의 권리와 목적 (0) | 2009.01.14 |
[스크랩] 청소년지도사 현장에서의 진로모색 (0) | 200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