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자동차 밧데리에 대하여

하늘이슬 2009. 7. 15. 11:56

자동차 배터리를 일반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인데요.

먼저 자동차 본 네트를 열어서 배터리 터미널 및 커넥터가 부식되지 않았는지 점검 해주는 것인데요.

 

터미널에 산화부식된 흰가루가 있으면 샌드페이퍼를 사용해 깨끗이 닦아 내주셔야 합니다~배터리 터미널과 커넥터의 연결이 헐거우면 접촉불량이 생기므로 렌치를 사용해 단단하게 조여야 합니다.

커넥터와 터미널의 청소와 연결이 끝나면 터미널부에 그리스를 발라 산화 부식을 방지해주는게 좋습니다.

 

배터리 커넥터를 분리할 때는 반드시 (-)단자부터 분리해줘야 하는데요.그 이유는 (-)쪽이 자동차 차체에 접지돼 있기 때문인데,

엔진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부터 분리하면 그 커넥터가 보디 등에 접촉돼 쇼트가 일어날수 있습니다.쇼트가 되면 최악의 경우 자동차의 전자부품들이 쇼트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있는것이죠.

 

배터리의 교환 및 청소 방법으로는

 

배터리의 교환시기는 평균 3년정도 인데요,

자동차 관리방법에 따라서 기간이 크게 좌우됩니다.(관리가 중요한것이죠.)

 

 

배터리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배터리에 달린 선과 고정된것을 제거해서 꺼내어줍니다.

(이때 배터리 액이 흐르지 않도록 수평으로 꺼내주셔야 합니다.)

 

고정된것 풀기

 

(-)단자부터 제거, 후 (+)단자 제거[조립시 역순]

 

수평을 유지하면서 꺼내기

 

그리고 꺼낸 배터리를 젖은 걸레로 닦아주시고, 지워지지 않은 이 물질의 경우 중성세재나 스펀지를 써도됩니다.

배터리를 깨끗하게 닦아낸후 마른 걸레로 배터리와 단자 주변의 물기를 없애주고 그늘에 건조시키면 됩니다.

 

 

배터리의 방전과 응급조치 방법배터리가 방전되어 고생하는 경우 중

운전자의 부주의로 하루종일 헤드라이트 혹은 실내등을 켜놓을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아무리 배터리 수명이 3년이라고 하지만

수명을 팍팍 단축시키게 되어 아침에 가보면 방전된 상태가 되는것이죠.

 

이 때는 점프 케이블을 사용해서 시동을 거는게 좋은데요. 적색(+), 흑색(-) 입니다.

 

우선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단자에에 적색 케이블을 연결시키고, 다른 차량의 (+)단자에 연결해줍니다.

 

(+)연결 후 ,

다른차량의 (-)단자흑색 케이블을 연결시키고, 방전차량의 (-)단자에 연결해줍니다.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후 배터리 전원을 공급해주는 차는 3천RPM정도로 3분정도 유지해 줍니다.(공회전)

3분정도가 지난후 방전차량의 시동을 걸면 됩니다.

 

만약. 배터리 교체후에도 이유없이 계속 방전 현상이 일어난다면.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는게 좋습니다.

 

(비상용으로 점퍼 케이블을 마트에서 구비 해놓는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 ^^)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는 밧데리와 발전기의 2계통이 있다.

 

축전지는 전기전인 에너지를 화확적인 에너지로 바꾸어 저장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전기적인 에네지로 바꾸어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엔진이 시동되어 있을때는 발전기가 전력을 공급하지만 엔진이 정지하고 있거나 시동할 때의 필요한 전력은 밧데리에 의존하게 된다.

 

밧데리는 엔진이 작동되고 있을 경우에도 발전기의 출력이 부족하거나 전압변동이 있을 때 이를 보상하여 전력 공급이 안전되게 한다.현상 - Key를 on"으로 했을 경우에 자동차의 모든 전기장치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 계기판의 경고등이 희미하게 점등됩니다. 시동을 걸었을 때 "딱 딱" 소리만 나면서 시동이 불가능합니다.  - 오랜시간 동안 운행을 하지 않고 주차를 했을 경우에도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능합니다. - 배터리액이 부족할 경우에도 시동이 불가능합니다. 인디게이터의 색깔이 적색으로 나타납니다. 점검방법 및 조치 - 경음기를 눌러보거나 전조등을 켜서 배터리의 방전 유무를 확인 - 배터리 옆면을 살펴보아 배터리 액이 있는지 점검 - 배터리 (+), (-) 케이블을 흔들어서 케이블의 장착상태를 확인 -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해서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의 접촉부위를 확인 - 항상 (-)케이블을 먼저 분리합니다. 발전기와 연결되는 휴즈를 확인 점프선을 이용한 시동방법 밧데리 단자 구별방법은 단자 근쳐에 보면 (+),(-) 구별이 가능하도록 표시가 되어 있으며 구별이 안될경우 빨간색이 (+) 입니다.  방전된 차량의 밧데리 (+)단자에 빨간색 점프선을 연결하고 (-)단자에는 검은색 점프선을 연결한다. 시동 차량에도 똑같이 빨간색 점프선을 밧데리(+)단자에 연결하고 검은색 점프선을 (-)단자에 연결한다. 밧데리 연결은 (+)단자부터 연결하고 맨 마지막에 (-)단자를 연결하여 시동을 건다.시동후 케이블을 제거하고 10∼20분 정도 대기한 후 시동을 끄고 다시 시동을 걸어 충전상태를 확인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