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방

[스크랩] 에스겔 40-48장에 나타난 새성전 연구

하늘이슬 2018. 6. 20. 16:44

 

출처; http://www.riss.kr/link?id=T12266488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석사학위논문
에스겔 40-48장에 나타난 새성전 연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과 구약신학전공
최 선 욱
2010년 12월

 


에스겔 40-48장에 나타난 새성전 연구


지도교수 임 동 원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12월 일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신학전공
최 선 욱
최선욱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위원: (인)
부심위원: (인)
부심위원: (인)
2010년 12월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목 차
Ⅰ.서론 ·······················································································································1
1.연구목적 ·············································································································1
2.연구방법 및 범위 ·····························································································3
Ⅱ.에스겔 40-48장의 배경 이해 ··········································································4
1.에스겔서에서 40-48장의 위치 ······································································4
2.에스겔 40-48장의 연구사 ············································································10
3.에스겔 40-48장의 본문분석과 구조 ··························································19
4.본문의 삶의 자리와 의도 ·············································································28
Ⅲ.에스겔 40-48장의 성전구조 ··········································································35
1.사제직 계승 ·····································································································36
2.사독계열 제사장 ·····························································································40
3.사독계열 제사장들의 성전구조 ···································································42
Ⅳ.예언자 에스겔의 성전신학 ·············································································46
1.에스겔 성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46
2.불연속적 측면에 대한 신학적 의미 분석 ·················································56
3.제 2성전과의 관계 ·························································································57
4.신약과의 관련성 ·····························································································59
5.에스겔의 성전 신학 ·······················································································61
Ⅴ.결론 ·····················································································································64
1.요약 ···················································································································64
참고문헌 ····················································································································69
-1-
Ⅰ.서론
1.연구목적
본 논문은 에스겔 40-48장에 나타나는 성전의 구조 및 그 신학적 배
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새 성전의 회복이 주는 진정한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에스겔의 이름은 ‘예헤저케엘’이다.‘예헤저케엘’은 ‘하자크’(강하게 하
다)와 ‘엘’(하나님)의 합성어이고 ‘하나님이 강하게 하실 것이다’라는 뜻을
갖는다.에스겔은 제사장 출신이면서(1:3)또한 선지자이기도하다.에스겔은
그의 나이 30세(1:1)로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았다.에스겔은 당시의 유다
왕 여호야긴과 함께 포로로서 바벨론으로 끌려간 지 5년째 되던 주전 593
년이었다1).
당시 남왕국 유다는 주전 605년에 바벨론의 1차 침략으로 다니엘과 많
은 지도자들이 바벨론으로 잡혀갔고,2차 침략이 일어난 주전 597년에는
여호야긴과 에스겔 그리고 많은 백성이 끌려갔다.이렇게 포로가 되어 바
벨론으로 끌려간 사람들과 함께 있던 에스겔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특별히
임하신다.
에스겔서의 목적은 포로로 잡혀간 유다 백성에게 그들이 왜 국가적으
로 멸망할 수밖에 없고,앞으로 유다가 어떻게 회복될 것인지에 대해 하나
님의 메시지를 통해 해답을 주시는 것이다.에스겔서는 절망 속에서 하나
님의 임재로 시작해,마지막에 회복될 하나님의 임재인 여호와 삼마로 끝
을 맺는다.그들이 멸망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하나님께 대한 그들의 불순
종과 죄악 때문이고(8-11장),하나님의 백성뿐 아니라 하나님을 대적한 이
1)이학재,「에스겔 어떻게 읽을 것인가」(서울:성서유니온선교회,2002),11.
-2-
방민족까지도 하나님께서 심판하실 것이며(25-32장),유다 백성을 위한 회
복의 계획도 갖고 계신다(33-39장).그리고 미래에 새로운 성전(40-48장)에
서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은 완전히 회복될 것이다.
본 연구의 본문인 에스겔 40-48장은 학자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에스
겔 예언의 전체 맥락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본문으로 취급
되어 왔다.그러나 40-48장을 그 자체로 완결되어 있는 통일된 문학작품으
로 파악되어야만 한다.그 이유는 40-48장 안에 하나로 묶여 진 단락들이
성격이 각기 다르고 그것들이 나타내는 경향들이 서로 상충됨에도 불구하
고 앞에 나오는 구원의 약속들과 뚜렷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구
원시대의 성전과 땅 그리고 백성에 대한 전형적인 이해를 이스라엘 공동체
에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에스겔 40-48장의 본문은 성전을 중심으로 모여들 이스라엘이라는 신
앙공동체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야웨 종교의 중심지였던 예루살렘 성전은
파괴되고,성전 없이 이스라엘은 그들의 야웨 신앙을 점검해야만 하는,성
전과 함께 야웨까지 잃어버린 듯한 이스라엘 앞에 에스겔은 포로기 이스라
엘로 하여금 야웨께로 돌아가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에스겔 40-48장은 새
성전에 대한 에스겔의 이상을 담고 있으며 백성 가운데 거룩하게 임재하시
는 하나님의 현현을 보여주며 미래를 신정사회의 비전을 보여주고 있는 본
문이다.예루살렘 성전을 빠져 나가시던 야웨의 영광이 그 모습 그대로 다
시 새 성전을 향해 돌아서는 야웨의 귀향을 말한다.새 성전이 "야웨 삼마
"(야웨가 거기 계시다)라고 불리우며,약속의 땅의 중앙에 위치한다는 것은
예루살렘이 야웨 임재의 중심지임을 나타낸다.
솔로몬에 의해 건립된 야웨 종교의 중심지였던 예루살렘 성전,그러한
예루살렘 성전의 멸망,국가 종말의 위기의 목전에서부터 포로기에 이르기
까지 야웨 신앙을 포기하지 않도록 백성의 귀가 되어준 에스겔의 새 예루
살렘 성전에 대한 환상,예루살렘의 멸망으로 인한 신학적 위기 속에 무너
-3-
진 성전 재건에서 유대 사람들의 민족 신앙이 회복될 것을 확신했던 포로
후기시대의 제 2성전 등을 통해 다음의 물음을 던질 수 있다.예루살렘 성
전 건축/재건과 성전 예배의 회복이 왜 그리 중요했는가?왜 그토록 성전
건축에 강한 집착을 가졌는가?이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연구방법 및 범위
본 논문은 선행연구 된 학술논문과 단행본 주석서들을 주요 참고 자료
로 하여 문헌 중심적인 연구로 진행하고자 한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그 목적을 밝혔으며
제2장에서는 에스겔 40-48장의 배경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에스겔
서 전체가 통일성이 있고,계획된 내용이고,통일된 언어 형태라고 문학적
인 문제를 19세기 말까지는 제기 하지 않았으나 그 이후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다.이러한 본문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들을 본론의 첫 부
분에서 간략히 논술한다.
제3장에서는 에스겔 40-48장의 본문에 대한 구조․ 유형․ 삶의 자
리․ 의도를 자세히 알아보아 에스겔의 나타내고자 하는 새 성전에 대한
청사진을 이해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이어서 제사제도를 중심으로 사독계열 제사들의 성전 구조
를 알아봄으로써 사독계 예언자였던 에스겔의 성전관을 알아본다.그리고
에스겔의 성전관과 솔로몬 성전,에스겔의 성전관과 포로후기시대의 제 2
의 성전을 비교함으로써 어떻게 성전의 개념이 전승되었는지 고찰해 본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론에서 제기된 내용들을 요약하며,암울한 역사적
정황 속에서 신학적인 위기의 갈등을 성전건축과 성전 예배로 해결하려는
에스겔과 포로후기 시대의 제 2성전 예언자들의 답변들을 캐내어,지금 우
리 가운데 "여호와 삼마"의 신앙을 회복하고자 한다.
-4-
Ⅱ.에스겔 40-48장의 배경 이해
1.에스겔서에서 40-48장의 위치
19세기 말까지 학자들은 1-48장 전체가 통일성이 있고,계획된 내용이
고,통일된 언어 형태라고 문학적인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그러나 크래
취마르(Kruetzschmar)가 처음 별개의 두 줄기 개정판 에스겔서가 있었다
는 가설을 내놓았으나 증거 제시에 약하였고,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종자는
많았다(Herrmann,Cooke).에스겔서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몇몇의 학자들
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포오러(G.Fohrer)는 에스겔서의 통일성에 관하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에스겔서에는 모든 긴장․ 모순들, 반복들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는
3:16b-21:22-27절과 같이,여러 단락이 시대적으로 부당하게 편집되어 자리
를 잡고 특히 8-11;40-48장에 원래 독립적인 단락들을 맞물려 놓은 것 등
이 있다고 본다.2)
휠셔(Hölscher)는 시문과 산문을 본래적인 것과 비본래적인 것으로 구
분하였는데,소명기록,상징적인 행동,환상을 본래적인 것으로 구분하였다.
그에 반하여서 헤르만(Herrmann)은 주요 구절 16개와 짧은 산문 다섯을
에스겔의 것으로 생각하고,그 후에 여러지 단계를 거쳐 확장되었고,주전
500-450년경에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다고 보았다.휠셔는 1-32장 안에
170-1273절 가량이 에스겔의 것이고,33-48장의 구원예언 전부와 신명기적
인 것,성결법전과 유사한 것 등은 2차적으로 보았다.휠셔는 에스겔서가
주전 5세기 초 예루살렘 사독 제사장 계열 편수자에 의하여 완성되었다고
생각하였다.3)
2)G.Fohrer,「구약성서개론(하)」,방석종 역 (서울:성광문화사,1992),285.
3)구덕관,「구약개론(하)」(서울:대한 기독교 출판사,1993),95.
-5-
스멘트(R.Smend)는 40:1절에 회복된 장래에 대한 대환상(40-48장)을
573년에 해당시켰다.또한 에스겔은 571년까지 말씀을 받았으므로(29:7),기
본적인 소재는 이스라엘 지도자에 관한 환상(40:1-37,47-49;41:1-4)에서
전제되었다고 볼수있다.그후로 41:5-15a;42:15-20;43:1-11에서 확장되고,
44:1-2;47:1-12에서 더 발전된 것이라고 주장한다.4)
할스(R.M.Hals)는 1-24장의 심판의 메시지와 33-48장의 위로의 메
시지와 그사이에 커다란 이방 국가들에 대항하는 선포를 말하는 25-32장
사이에 두 개의 주요부분이 끼어 들었다고 말한다.할스는 이런 비슷한 유
형은 이사야와 예레미야라는 것을 지적하면서도 1-24장 안에 있는 몇몇의
위로의 단락들(예를 들어,11:14-21;16:53-63;20:40-44등)이 위치를 벗어
나서 있는 것을 아울러 지적한다.5)
차일즈(B.S.Childs)는 에스겔서의 구조를 분명하게 정리된 부분들로
나뉘어지는데,4군데로 나누어진다고 본다(1-24;25:32;33-39;40-48).에
스겔서의 구조의 중측은 에스겔서 전체에 걸쳐 있어 각 부분들을 하나로
결합하는 연대기적 틀(1:1-2;8:1;20:1;24:1;26:1;29:1,17;30:20;31:1;
32:1,17;33:21;40:1)에 의해 제공되진다고 본다.이 연대기적 틀 속에서 신
학적인 목적을 가지고 예언자의 선언이 선포되고 있다는 것이다.1-24장에
는 소명설화와 에스겔의 초기 사역 기간의 신탁으로서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 선언을 담고 있다고 본다.25-32장에는(현재의 구조 안에 있는
것은 후대의 정경적 정리를 반영하는 것이 분명함)암몬,모압,에돔,블레
셋,두로,시돈,이집트 등 주변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열방 신탁이라고본
다.33-39장에는 주전 587년 바벨론 침공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을 향한 희
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마지막으로 40-48장은 새 성전에 대한 환상을
4)R.Smend,Entstehung zum AltenTestament19,165.구덕관,「구약개론(하)」,98
에서 재인용.
5) R.M. Hals,Ezekiel,The Forms ofthe Old testament Literature, Vol.19
(Michigan:GrandRapids,1989),3.
-6-
묘사하고 있다고 본다.6)
위버스(J.W.Weavers)는 에스겔서가 후기 예언서 중 그 어느 책보
다도 조직적으로 구성 되었다고 본다.또한 이 같은 신탁을 연대순으로 배
열되어 있다고 본다.위버스는 8-11장의 성전 환상에서 야웨의 영광이 성
전 동편으로 떠남으로 인해 예루살렘의 파괴가 임박한 것을 40-48장의 미
래 이상형의 성전에서 야웨 영광이 동편 문으로 다시 들어와 영원히 계신
다는 환상과 연결시킨 점을 지적한다.이러한 편집자의 고의적인 의도는
책 전체에 걸친 이상적인 구성으로 나타난다.그 구성에 대하여는 1-24장
은 주전 586년 이전의 신탁이고,25-32장은 열방 신탁이며,33-39장은 586
년 이후의 희망에 대한 신탁,그리고 40-48장은 미래에 대한 이상을 모든
것으로 이야기 한다.7)
클라우스 베스테만(Claus Westermann)은 1-24장(유다와 예루살렘에
내린 심판문들),25-32장(이웃나라에 내린 심판문들),33-39장(구원의 말씀
들),40-48장(새 성전)으로 나누고 있다.쥴리 갈람부쉬는 에스겔이 예루살
렘을 야웨의 아내라는 은유로서 표현한 것에 주목한다.그 본질과 의미를
조사하면서,그 은유가 들어 있는 16장,2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전체
에스겔서를 재구성하고 있다.그러나 결국 1-24장,25-39장,40-48장으로
구분하여 이야기 한다.
뉴섬(J.D.Newsome)은 에스겔서는 히브리서 예언서 중에서 가장 조
직적인 배열을 갖춘 책이라고 말한다.내용별로 보면 크게 세 부분으로 나
뉘어진다.1-24장은 에스겔 초기 사역 기간의 신탁,환상,은유,설화 등을
포함하는데,이들의 중요 메시지는 예루살렘과 유대에 임할 긴박한 심판을
선언한 것이라 말한다.그리고 25-32장은 암몬,모압,에돔,블레셋,두로,
6)B.S.Childs,「구약정경개론」,김갑동 역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87),346-348.
7)J.W.Weavers,Ezekiel,The New Century Bible Commentary,Softback edition
(Grand Rapids:Wm.B.EerdmansPub.Co.,1982),3,7.장일선,「히브리어 예언서 연
구」(서울:대한기독교서회,2002),210-211에서 재인용.
-7-
시돈,이집트 등 주변 국가들이 야웨께 저지른 죄상을 폭로하는 열방 신탁
이라고 말한다.33-48장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구원신탁을 담고 있다고
본다.이 같은 배열은 이스라엘 백성들에 대한 심판뿐 아니라 이방민족들
도 심판을 받고 그런후에는 이스라엘이 다시 회복된다는 논리 전개를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8)
이같은 논리성은 첫 부분과 셋째 부분 사이의 대응 관계에서도 잘 나
타나 있다고 메이스(J.L.Mays)는 지적한다.예로 들면,에스겔의 소명설
화가 1:1-3:15절 사이에 기록된 것이 셋째 부분에서는 33:1-9절까지에서 이
스라엘의 파수꾼으로서 다시 확인되는 것이다.또한 6장에서는 이스라엘
산들 위에서 구원이 선포되며(36:1-15),또한 8-11장 사이에서 새로운 성전
에 다시 임하는 환상으로 이어지고 있다.36장에서의 구원(36:10-38)과 20
장에 언급된 이스라엘 역사의 과거죄목이 대치되고있다(20:1-49).그 밖으
로는 열방 신탁은 완전수를 나타내는 일곱 개이며,이 신탁은 예루살렘 패
망 예고(24:25이하)와 도성의 파괴에 대한 실제 보고(35:12이하)사이에
끼어진 것으로 본다.9)
최근의 연구는 에스겔서가 현재의 형태로 보존되어 전해지기까지는 에
스겔 한 사람의 저작 활동보다는 여러 사람에 의해 여러 단계를 거친 편집
과 수정 단계가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예로 몇가지를 살펴본
다면,1장의 야웨 임재의 대환상은 15절에서 21절까지의 수레바퀴 서령 부
분이 첨가되어 환상의 내용을 설명해 주고 있다는 것,또한 19장 1-9절의
여호아하스와 여호야김 왕에 대한 애도가 주전 587년 사건을 계기로
10-14절까지의 시드기야 왕에 대한 애도까지 포함시킨 것이다.마지막 부
분의 새 성전에 대한 환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역(40:38-46; 41:5-15;
8)J.D.Newsome,TheHebrew Prophets(Atlanta:JohnKnoxPress,1979),133.
9) J. L. Mays, Exekiel, Second Isaish, Proclamation Commentaries, The Old
TestamentWitnessforPreaching(Philadelphia:FortressPress,1978),23.장일선,「이스
라엘 포로기 신학」(서울:대한 기독교서회,1988),139재인용.
-8-
42:1-14)이 후일에 보완된 것으로 본다.
클레멘츠(R.E.Clements)는 유대에 관한 강한 심판 선포가 희망의 말
로 바꾸어지게 된 것(16:53이하;20:33이하)은 본래의 에스겔 예언에 손
질을 가한 것으로 본다.하지만 어느 부분까지가 예언자 자신의 자료이며,
어느 부분이 편집자들이 첨가한 2차적 자료인가를 구분하기는 힘든 일이지
만,책 전체를 통해 어느 정도 통일성과 단일성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은
에스겔의 영향이라고 주장한다.10)
그러면 이같은 수정 보완작업을 한 사람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
되다.이에 짐멀리(W.Zimmerli)는 "에스겔학파"가 책 전체에 신학적인 구
조를 첨부했다고 가정할수있다.11)따라서 예언자 에스겔 자신이 현재 형태
로 완성시킨 것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다.
최근 예언서 연구에서는 예언서의 경전성 형성에 관심을 두고 본래의
예언자 자신의 신탁이 그의 제자들이나 지지 그룹에 의해 보존되고 또한
수정되며 재해석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을 기울이고 있다.에스겔의 경우
짐멀리는 "학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클레멘츠는 제자보다는 학파가 더
타당성 있다고 본다.제자는 스승의 신탁을 보존하는데 급급하지만,학파는
예언자의 메시지를 새로운 시대에 적용시키는데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따
라서 "에스겔학파"는 바벨론 포로 지역에서 활동한 사독 계열 제사장 집단
일 것으로 추정한다.12)이들 사제집단은 예루살렘의 성전 예배 행위가 그
친 포로 기간 중 예루살렘 제의 행위의 회복을 꿈꾸면서 예언자 에스겔의
메시지를 그들이 처한 시기와 장소에 적용시키는 작업을 진행시켜 왔다고
보는 것이다.따라서 이들 사제 집단에게서 성결법전이 집대성 되었으며,
10)R.E.Clements,The EzekielTradition:Prophecy on aTime ofCrisis,Israel's
Prophetic Tradition,Essays in HonorofPeterAckroyd,Edited by Richard Coggins,
AnthonyPhillips,andMichaelKnibb(Cambridge:CambridgeUniv.Press,1984),127.
11)W.Zimmerli,Ezekiel,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the Bible,Suppl.vol.1(
Philadelphia:FortressPress,1976),314.
12)R.E.Clements,TheEzekielTradition,133.
-9-
성결법전과 에스겔서의 유사성은 널리 알려진 바 있다.예언자 에스겔이
선포한 새 성전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이 이들 사제학파에 의해 수정 보완
되었으리라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크로이드(P.R.Ackroyd)가 지적한 바와 같이,13)에스겔의
예언 신탁들이 정리되고 수지된 것은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 성전의 제의
행위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함이었다고 말한 바와 같다.에스겔서는 주전
587년 이후 완전히 종식된 예루살렘 성전의 예배가 다시 활기를 띨 수 있
도록 만든 원동력을 제공한 책이 된 것이다.
메이스는 에스겔서에는 포로기 이후 사건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포로기간 중 책이 현 상태로 완성되었고,귀환할 때 에스겔의 예
언 메시지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주시는 말씀으로 받아들인
사람들에 의해 예루살렘으로 옮겨졌을 것으로 본다.14)
클레멘츠는 에스겔의 새 성전 회복 계획이 예루살렘 성전이 복구된 주
전 516년 이후에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며,고레스 칙령(주전 538년)이전인
바벨론 포로 기간 중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본다.그러므로 그는 에스겔서
의 작품이 주전 571년과 주전 538년 사이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본다.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에스겔서가 통일성이 있고,계획된 내용이
고,통일된 언어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여러 학자
들의 견해들을 살펴보았다.에스겔서 작품의 저자에 대한 견해들을 종합해
보면,에스겔서가 에스겔 한 사람의 저작 활동이기 보다는 여러 사람에 의
해 여러 단계를 거친 편집과 수정 단계가 불가피 했을 것이라고 본다.최
근 예언서 연구에서는 예언서의 경전성 형성에 관심을 두고 본래의 예언자
13)P.R.Ackroyd,The History ofIsraelin the Exilic and Poste-exilic Periods,
Tradition& Interpretation,EssaysbyMembersoftheSocietyforOldTestamentStudy,
Ed.ByG.W.Anderson(Oxford:ClarendonPress,1979),325.
14)J.L.Mays,Ezekiel,SecondIsaiah,24.
15) R.E.Clements,TheEzekielTradition,132.
-10-
자신의 신탁이 그의 제자들이나 지지 그룹에 의해 보존 되고 또 수정되며
재해석 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짐멀리나 클레멘츠가 주장하듯,바벨
론 포로 지역에서 활동한 사독계열 제사장 집단일 것으로 추정되는 "에스
겔 학파"에 의해 예언자 에스겔이 선포한 새 성전(40-48장)에 대한 하나님
의 말씀이 수정 보완되었을 것이라고 믿는 점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고 에스겔서 전체에 걸쳐 있는 구조에 대한 견해들을 종합해 보면
그 구조들은 에스겔서 전체에 걸쳐 있어 각 부분들을 하나로 결합하는 연
대기적 틀에 의해 제공되고 있고,예언자의 선언은 이 연대기적 틀 속에
신학적인 목적을 가지고 선포되고 있다고 본다.다시말해 에스겔서가 후기
예언서 중 어느 책보다도 조직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과 이같은 신탁을 또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에스겔서에서 40-48장의 위치는 어떠한가?에스겔서 1-24장
의 심판의 메시지와 33-48장의 위로의 메시지와 그 사이에 앞의 두 부분
과는 관련이 없는 커다란 이방 국가들에 선포를 말하는 25-32장이 사이에
끼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2.에스겔 40-48장의 연구사
에스겔서 40-48장은 성전을 중심으로 모여들 이스라엘이라는 신앙공
동체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학자들 사이에서 에스겔서 40-48장은 오랫동
안 에스겔 예언의 전체 맥락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본문으
로 취급되어 왔었다.본문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본문에 대한 이해
를 돕고자 한다.
차일즈는 에스겔서의 결론 부분인 40-48장이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
에 대한 올바른 예배를 실천으로 보이는 공동체로 묘사하고 있다.40-48장
들이 보다 앞서 이스라엘의 불순종은 예배의 병폐라는 관점에서 묘사한 것
-11-
-특히,8-11장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차일즈는 두 가지
측면에서 40-48장을 보고 있다.40-48장의 정경적 형태는 이스라엘의 소망
의 구체적인 특징들을 부드럽게 하려고 새 성전과 새 땅에 대한 묘사를 영
화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본다.다른 한편으로 낙원을 생각나
게 하는 용어로 땅의 변형을 묘사한 것은(겔 37:1이하)이스라엘의 죽은
자 가운데서의 부활과 새로운 창조의 신적 근원을 강조한다고 본다.16)
아이히로트(W.Eichrodt)는 에스겔서를 마무리 짓는 부분인 40-48장이
그 자체로써 완결되어진 통일된 문학작품이라고 말한다.40-48장의 작품은
그 안에 하나로 묶어진 단락들의 성격이 각기 다르고 그것들이 나타내는
경향들이 서로 상충됨에도 불구하고 앞에 나오는 구원의 약속들과 뚜렷하
게 대조를 이루는 있는 것으로 구원시대의 성전과 땅 그리고 백성에 대한
전형적인 이해를 이스라엘이라는 공동체에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본다.아이
히로트는 40-48장이 그 때마다 한 번에 쓰여진 것도 아니며 또한 어느 모
로 보나 모순 없이 논거가 꼭 맞는 한 저자의 창작도 아니며,또한 기원이
각기 다른 단락들이 하나로 묶어지고 그 다음에 여러 사람들이 첨가해서
많은 보완물과 첨가구들을 더함으로써 더 풍부해지고 이로인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된 것이라고 말한다.그렇기 때문에 일련의 이 장들(40-48
장)의 본래적인 의미를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한다.이것은 40장 첫머리 다
음에 나오는 작품 전체는 긴 환상(하나님이 그의 백성 가운데서 이루는 행
위)에 대한 예언자의 입장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처럼 보이지만,이 환상은
그 이후의 과정에서 조만간에 그것과는 무관하고,성격이 독특한 묘사들을
통해 또는 환상가의 시좌로부터 불완전하고 죄로 물든 지상의 현실 속으로
내려가는 하나님의 규정들의 선포를 통해 분리되었음을 뜻할 뿐이라는 것
이다.이것은 사정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된 기본의도를 갖고 있는 완
결된 작품이 앞에 있는 것처럼 믿으면 어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삼는가
16)B.S.Childs,「구약정경개론」,김갑동 역 (서울:대한 기독교 출판사,1987),348.
-12-
여하에 따라 그 의미를 전혀 다르게 판단하게 된다는 것이라 본다.17)
이에 아이히로트는 40-48장에 관해 몇 가지 질문을 한다.40-48장이
구체화될 역사적 시점만을 기다리고 있는 새 이스라엘의 헌법초안이 제시
되고 있는 것인가,아니면 미래에 대한 에스겔의 이제까지의 전망에서는
아무 정보도 얻을 수 없는 몇 가지 질문들,약속으로 주어진 성전에서의
봉사,성전요원들의 조직,지파들과 그 우두머리들을 대상으로 하는 옛 고
향의 분배 또는 왕의 권리와 의무 등에 대한 질문들,다시 말해 최소한의
몇 가지 중요한 모티프들을 통해 가능하거나 바람직한 정부를 논구하고 있
는지를 묻는다.아이히로트는 앞의 논구들이 실행되려면 인간이 복종과 협
력에 의존해야 하는 예언자의 충고가 아니라 미래에 대한 전망으로서 그가
(이 백성을 다스리시는 주 하나님)정한 때에 인간의 도움을 받지 않고 그
전망을 실현시킴으로 그것은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없고 새
백성을 창조하는 하나님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려고 하면서 또한 하나님
의 행위의 보편적인 목표들을 기술하고 있는 것을 묻는다.아이히로트는
성격을 달리하는 이 해석들 가운데 어떤 것이 40-48장에 나온 구원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이 해석들은 상호 모순된 이 구
원상의 기본 특질로 인해 모두 실패로 끝남으로써 전체를 어떻게든 통일된
문학작품으로 보려고 하는 것은 환상임을 입증할 것인지 하는 물음에 해석
을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이것은 40-48장에는 겉으로는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고 있지만 판이하게 다른 요소들이 결합되어 그것들을 나름
대로의 법칙을 따르는 별개의 전승 단위들임이 하나하나의 심층적인 연구
를 통해 입증된다는 인식에 도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다.18)
니디치(S.Niditch)는 40-48장을 창조설화의 관점에서 보고 있다.니디
치는 40-48장의 새 성전에 대한 에스겔의 환상은 근본적으로 우주 창조,
17)W.Eichrodt,「에제키엘」,김상돈·김상기 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1991),622.
18)W.Eichrodt,「에제키엘」,622-623.
-13-
우주 질서 그리고 범주의 구분을 도입시켜 새 성전은 곧 우주이며 성전을
중심으로 성과 속이 구별된다고 봤다.이로인해 제사장-군주-백성의 범주
가 구분된다고 설명한다.그러면서 38-39장이 창조설화의 대결과 승리 그
리고 축제 등의 모티프를 반영하는 만큼 37-49장까지는 인간 창조,우주
질서의 확립,그리고 범주의 구분 등으로 그 주제가 이어지는 만큼 모두
에스겔 자신으로 봐야 한다고 말한다.니디치는 37-48장의 창조 주제가 창
세기 1-11장과 유사하다는 견해로 창세기 창조설화의 업무분담,계층구분,
지리적 장소와 변두리의 확정,인간과 장소의 구분 등이 40-48장의 성전
환상에서 잘 드러나 있다고 말한다.19)
앤더슨(G.W.Anderson)은 에스겔이 예언 전승을 수집하여 에스겔이
물려받은 제사전승과 결합시켰다는 관점으로 40-48장을 두 개의 전승의
결합으로 보고 있다.앤더슨은 40-48장의 기록이 에스겔 직후 시대의 특징
을 나타내고 있는 율법과 제사 규정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그들의 생각한
미래에 대한 자세한 관심을 보여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미래에 대한
예고 속에서 제 2이사야나 그 후 예언자들에게서 다시 들을 수 있는 희망
에 대한 확고한 시대를 엿볼 수 있다.나아가서 후대에 대두되는 묵시문학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엄하고,때로는 환상적인 상징주의의 수법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앤더슨은 40-48장에서 에스겔이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
을 중심으로 한 거룩한 국민의 환상을 보았다고 말한다.20)
하란(M.Haran)은 40-48장 새 성전에서의 사제직에 관심을 두고 있는
데,‘누가 사제직을 수행하는가?’하는 물음에 대해 에스겔은 ‘아론의 자손’
을 ‘사독의 자손’으로 대체시킨 것 외에는 P문서(P문서는 레위지파 중 한
가문인 ‘아론과 그의 자손’이라고 말함)의 관점과 같다고 본다.P문서나 에
19)S.Niditch,Chaosto Cosmos:Studiesin BiblicalPatternsofCreation (Scholars
PressStudiesintheHumanities6;Chico,Cal:ScholasPress,1985),157.
20) G.W.Anderson,「이스라엘 역사와 종교」,김찬국 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4),174.
-14-
스겔 모두 레위인들에게 열등한 거룩함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에스겔은
제사직에 있어 사독의 자손에게만 한정되어 있다고 본다.하란은 40-48장
에 나오는 이상화된 도식적인 성전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상상적인 구성에 불과하다고 본다.그러나 그것이 본질적으로는 예루살렘
성전의 실제적인 윤곽을 염두한 에스겔의 비전임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본다.21)
레벤슨(J.Levenson)은 에스겔의 성전묘사와 성전제의,공동체에 내재
하는 실제적인 계획을 강조하였다.이는 환상을 통하여서 분명해진 명령은
여전히 인간의 노력이 수행될 수 있는 목적지이며 그와 같은 전승에 의해
이해되어졌다는 것이다.레벤슨은 40-48장이 히브리 성서에서 모세의 율법
이 아닌 유일한 법규를 포함한다고 본다.에스겔의 미래 성전에 대한 환상
이 모세에게 보여진 성막의22)“양식”을 상기하고 있다고 본다(출 25:9;다
윗에 의해 솔로몬에 주어진 양식을 비교,역상 28:11-18).레벤슨은 모세처
럼 에스겔도 그의 환상에서지만 땅을 볼 수 있는 것이 허락되어졌다고 말
한다.레벤슨은 에스겔의 시온의 여행을 유대주의에서 안식일과 같은 것으
로 또는 기독교에서 성찬식과 같은 것처럼 궁극적인 구원의 경험이라고 본
다.23)
스펜서(J.R.Spencer)는 40-48장에 묘사된 신정정치는 성전과 제사제
21)M.Haran,TempleandTemle-ServiceinAncientIsrael(Oxford,1978),45-46.
22)회막(오헬 모에드,Ohelmoed)과 성막/장막(미쉬칸,mishkan)은 동일한 명칭이다.구
약성서에는 이 두 명칭이 같이 나온다.예를 들어.민수기 3:5-10을 보면 알 수 있다.회막
이나 성막/장막이나 모두 광야 유랑 시절 세웠던 옛 천막 성소(이동식 성소)를 가리킨다.
구약성서 본문은 보도하는 관점에 따라 이것을 회막이라 부르기도 하고 성막이라고 부르기
도 한다.천막이 세워져 있는 기간 동안 이 성소는 회막이라고 불리운다.하나님의 계시가
선포되는 장소요,하나님과 이스라엘이 만나는 만남의 장소이다.천막을 거두고 이동하는
기간 동안 이 성소는 성막이라고 불리운다.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거룩한 천막이기에
제사장(아론계열제사장)과 레위사람들은 극도로 조심스럽게 그것을 운반해야 한다(예를 들
어,민 3:5-10;4:1-45).왕대일,“회막,성전,회당 그리고 교회,”「신학과 세계」통권 제
33호,(1996년 가을):27.
23)Ralph.W.Klein,EzekielThe Prophetand His Message (University ofSouth
CarolinaPress,1988),171.
-15-
도 중심이라 본다.성전은 지극히 높은 산 위에 세워진 형상(성읍)의 것이
며(40:2),레위 제사장만(사독의 자손)이 성전에서 여호와를 섬길 수 있다
는 것이다.에스겔도 사독가문의 일원이자 예루살렘 제사장 중에서 요직에
있었다고 본다.40-48장에 나타난 제사제도는 신명기 뿐만 아니라 P문서의
그것과도 다르며,P문서의 합법적 제사직이 아론 자손에 국한 된 것은 에
스겔에 있어서 사독파와 레위파를 구별하는 것 같이 아론 자손과 레위 사
람을 구별한다고 말한다.그는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백성들에게 요구된
거룩함은 제사장직 가운데서 상징화되고 제사장직이 계약의 중재자가 되
며,아론의 자손들은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 제의에서 핵심적 지위를 획득
하고 포로기 동안 최종적으로 형성된 오경과 함께 중심적 위치를 확보하게
되었다고 본다.24)
스미드(M.S.Smith)는 시편에 표현된(하나님을 바라봄)관심을 이야
기 하면서 하나님의 영광은 43:1-5절에서 폭풍우(많은 물소리)와 태양의
표상을 동시에 갖는 점을 주목하였다.이것은 물과 불이 함께 있는 형상으
로,여기서 말하는 하나님의 영광의 태양의 표상은 8:16절에서 다른 신을
섬기는 것으로 오용된 것과 맞물려 있다고 본다.스미드는 에스겔 전체가
야웨의 영광은 에스겔에게 보여진 성전에 충만하다는 것이다.8-11장에서
는 불로 떠나서 40-48장에서는 물로 임하는 것 모두 야웨의 위엄과 관련
된 것이라고 본다.스미드는 이러한 성전에 대한 이미지를 시청각적 언어
로 그려나간 것은 포로로 끌려와 있는 동료 이스라엘을 배려한 것이고,또
한 그들이 가진 성전에 대한 향수를 달래기 위해서 이러한 장치는 필수적
이었다고 말한다.25)
할스는 40-48장을 거대한 자료층이 하나의 단일 예언의 환상보도로서
24)J.P.Spencer,“Aaron,”AnchorBibleDictionary,Vol.1(New York:DoubleDay,
1992),1-6.
25)M.S.Smith,Seeing GodinthePsalms:TheBackground totheBeatificVision
intheHebrew Bible,CatholicBiblicalQuarterly,vol.50.No.2(1988,Apr.),179.
-16-
결합되어 있다고 본다.하지만 내용과 유형의 많은 주제들은 표면적으로는
단일화된 인상을 주는 본문에 설명을 요구한다고 본다.40-48장에 있는 대
부분의 단위들은 환상보도 묘사에 대한 형식을 취하면서도 본문의 양식은
앞 부분 다음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그 형식이 44장
에서 시작되는 규례에 대한 긴 총서로 바뀔 때는 47:1-12까지 확장되더다
도 환상보도로는 되돌아 오지 않는 다는 것이다.할스는 결론에서,환상보
도의 초기 구조(환상안내공식 계열)가 단지 40:1-44:4시작부분에서 일관된
통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자료들과의 통합에 의해 계속 퇴고되어 왔
다는 것으로부터 결론은 거의 다루기 힘든 것이 되었고,환상구조에 대한
요약은 일련의 희미한 의미를 주장하기 위해 발생할 뿐이라는 것이다.할
스는 첫 번째 부문이 40-42장에 있는 것이라도,어떤 일부문은 주변 양식
으로부터 일탈하는 강한 암시를 주는 것으로 본다.할스는 40-48장에서 과
거 악으로 인한 파멸의 주된 동기는 왕도 아니고 사독자손도 아니라고 말
한다.40-48장 청사진이 새 건물과 새 규례로써 새 성전이라는 것은 전에
것과 근접하게 닮았다고 본다.26)
짐멀리는 40-48장이 8-11장처럼,예언의 위대한 무아지경의 환상이라
고 묘사한다.8-11장은 성소 앞에서 죄를 짓는 행위와 부정으로부터 떠나
신 야웨의 영광으로 보여주며,40-48장은 이제 정결해진 성전-이상적인 구
획,보호적인 요새로서의 성소-의 소유를 다시 한 번 회복되는 무아지경의
환상에 대하여 완성된 묘사를 하고 있는 반면(1:1-3:15을 보면),40-48장
(37:1-14절처럼)은 예언자의 환상의 결말과 예언자의 회복에 대한 결론 보
도가 결여되어 있다고 말한다.또한 이 상이한 점은 내용의 특징에 관계한
다.8-11장-특히 본문의 본래적인 형식은 계속되는 움직임으로 가득차 있
으며,이야기체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오랫동안 확대 해석된 40-48장의
26) R.M.Hals,Ezekiel,The Forms of the Old Testament Literature,Vol.19
(Michigan:GrandRapids,1989),286-289.
-17-
결과는 단지 가까운 장래의 것이 그것의 명령에 따라 계시되고 관찰된다는
변화하지 않는 상황에 대한 묘사라고 본다.많은 부문들에 있어 모세오경
의 율법주의의 양식을 상기하는 큰 덩어리의 율법주의의 법규가 나타난다.
이는 40-48장이 줄여서 “청사진”이라고 불리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고 본
다.27)
구덕관은 옛 이스라엘 사회에서 공동체의 공동생활에 필요한 규범적인
요소를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그 요소는 바로 성전 예배의 범주
안에서 보존된 것으로 생각한다.이에 구덕관은 율법과 예언의 관점에서
40-48장을 포로로 잡혀간 상위 계급 집단들이 장래에 회복될 사회를 위해
청사진으로 그려 놓은 것으로 추정하면서,이 작품의 시기를 성결법전과
대체적으로 같은 시기로 본다.거룩에 대한 관심이 성결법전과 유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제사의식을 한 성전에 제한한 것으로 볼때는 신명기와 유
사한 것으로 여긴다.그러나 그 위에 성전 밖에서의 희생제물 도살을 엄격
히 금지한 것은 신명기에 대용하는 것으로 본다.28)
왕대일은 40-48장을 에스겔이 환상 중에 쳐다 보았던 이스라엘 새 공
동체는,시온은 반드시 이러해야 한다(Zion-to-be)는 신학적 청사진이라고
본다.성전 한 가운데 중심이 사독의 후손인 제사장이 어떤 정치 지도자보
다도 우위에 있는 야웨 삼마를 가능케 하는 사회이며,그 빛에서 에스겔은
이스라엘의 옛 모습의 회복을 그려보고 있다고 본다.29)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에스겔서의 결론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40-48장은 그 자체로 완결되어 있는 통일된 문학작품으로 본다.성전을 중
심으로 모여들 이스라엘이라는 신앙공동체의 모습을 전하고 있는 40-48장
27)W.Zimmerli,Ezekiel2,A Commentary on the Book ofthe ProphetEzekiel
Chapter 25-28,Translated by James D.Martion,Edited by PaulD.Hanson with
LeonardJayGreenspoon(Philadelphia:FortressPress,1983),326-327.
28)구덕관,「구약개론」(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82),308-310.
29)왕대일,「구약성서이해」(서울:성서연구사,1993),173.
-18-
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유형별로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로 창조
설화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둘째로 율법과 법규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셋
째로 제사제도(제사직)에 있어 사독계열 제사장들의 청사진의 관점에서 보
는 입장 등 이들 유형별로 보는 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들
을 정리하였다.
첫째,창조설화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이다.니디치(S.Niditch)는 40-48
장의 새 성전에 대한 에스겔의 환상은 근본적으로 우주창조․ 우주질서 그
리고 범주의 구분을 도입시켜 새 성전은 곧 우주이며 성전을 중심으로 성
과 속이 구별된다고 보았으며,37-48장의 창조 주제가 창세기 1-11장과 유
사하다고 보는데 이는 창세기 창조설화의 업무분담․ 계층구분․ 지리적
장소와 변두리의 확정․ 인간과 장소의 구분 등이 40-48장의 성전 환상에
서 잘 드러나 있다고 본다.
둘째,율법과 법규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이다.앤더슨은 에스겔이 예언
전승을 수집하여 에스겔이 물려 받은 제사 전승과 결합시켰다는 관점에서
40-48장을 두 개의 전승의 결합으로 보고 있는데,40-48장의 기록이 에스
겔 직후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율법과 제사 규정에 대한 그들의 관
심을 보여 주고 있다고 보았다.레벤슨(J.Levenson)은 40-48장이 히브리
성서에서 모세의 율법이 아닌 유일한 법규를 포함한다고 보았다.짐멀리는
40-48장의 많은 부분들이 있어 모세오경의 율법주의의 양식을 상기하는
큰 덩어리의 율법주의의 법규가 나타난다고 보았다.그리고 구덕관은 옛
이스라엘 사회에서 공동체의 공동생활에 필요한 규범적인 요소를 "하나님
의 뜻"이라고 생각하고,그 요소는 바로 성전 예배의 범주 안에서 보존된
것으로 보았다.
셋째,제사제도(제사직)에 있어 사독계열 제사장들의 청사진의 관점에
서 보는 입장이다.스펜서는 40-48장에 묘사된 신정정치는 성전과 제사제
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보았으며,사독계열 제사장만이 성전에서 여호
-19-
와를 섬길 수 있다고 보았다.이러한 제사직에 있어 하란은 에스겔이 새
성전에서의 사제직을 사독의 자손으로 한정시켰다고 보았다.그리고 왕대
일은 성전 한 가운데 중심이 사독의 후손이 제사장이 어떤 정치 지도자보
다도 우위에 있는 야웨 삼마를 가능케 하는 사회로 40-48장을 사독게열
제사장들의 청사진으로 보았다.
위의 유형뿐 아니라 40-48장이 회복된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에 대
한 올바른 에배를 실천으로 보이는 공동체로 묘사하고 있다고 본 차일즈나
40-48장의 작품이 그 안에 하나로 묶여진 단락들의 성격이 각기 다르고
그것들이 나타내는 경향들이 서로 상충됨에도 불구하고 앞에 나오는 구원
의 약속들과 뚜렷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구원시대의 성전과 땅
그리고 백성에 대한 전형적인 이해를 이스라엘 공동체에 제공해 주는 것으
로 보았던 아이히로트 등 대부분의 학자들의 40-48장에 대한 입장들은 성
전과 성전예배 중심으로서의 새 공동체를 바라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에스겔 40-48장의 본문분석과 구조
에스겔서 구조를 4개 도는 3개의 분명하게 정리된 부분들로 나뉘어진
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다. 에스겔서 구조를 4개의 부분(1-24; 25-32;
33-39; 40-48)으로 보는 학자들로는 짐멀리, 차일즈, 위버스(J. W.
Weavers),클라우스 베스터만(ClausWestermann),아이히로트 등이다.그
리고 3개의 부분(1-24;25-32;33-48)으로 보는 학자들로는 포오러,할스,
뉴섬 등이다.이렇게 에스겔서를 4개 또는 3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학자들
의 견해가 있지만,본문 에스겔 40-48장(새 성전에 대한 청사진)이 하나의
이야기 덩어리로 파악되는 것에 있어서는 학자들의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고 본다.그러나 40-48장의 세부구조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학자들간에
다른 견해들을 제시하고 있다.다음은 할스와 짐멀리의 본문에 대한 구조
-20-
Ⅰ.새 성전 40:1-42:20
Ⅱ.야웨 영광의 귀환 43:1-12
Ⅲ.번제단의 측량 43:13-17
Ⅳ.번제단의 정화 43:18-27
Ⅴ.닫혀진 바깥 동문 44:1-3
Ⅵ.규정에 따라 새롭게 된 환상소명 소개 44:4-5
Ⅶ.예배시 사제들 44:6-31
Ⅷ.공동체 지도자들의 재산권 45:1-9
Ⅸ.요구된 제물을 근거로 한 적당한 중량,측량 45:10-17
Ⅹ.다수의 축제들 45:18-25
Ⅺ.소수의 축제들 46:1-15
Ⅻ.왕의 소유에 관한 규례 46:16-18
ⅩⅢ.희생제물 부엌에 대한 두 가지 종류 46:19-24
ⅩⅣ.성저에서 흐르는 강 47:1-12
ⅩⅤ.토지의 새로운 분배 47:13-48:29
ⅩⅥ.성읍,그 문과 이름 48:30-35
분석을 비교해 봄으로써 본문의 유형․ 삶의 자리․ 의도를 알아보고자 한
다.
1)본문의 구조분석
짐멀리는30) 40-48장을 크게 3부분(40:1-42:20;43:1-46:24;27:1-48:35)
으로 나누고 그 다음으로 세부구조로 나누는데,이에 할스는 짐멀리처럼
크게 3부분으로 나누고 있지는 않지만 세부구조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본문을 나눈다.짐멀리와 할스는 40:1-37,47-49부분
과 41:1-4이 예언의 근본 핵심을 이룬다는 견해에 일치한다.할스는 짐멀
리보다 본문을 좀더 세세하게 분석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짐멀리의 틀은 비
슷한 경향을 보인다.다음은 할스의 본문에 대한 구조분석을 통하여 짐멀
리와 어떠한 면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새 성전과 새 공동체 환상에 대한 보도(40-48장)
30)W.Zimmerli,Ezekiel2,329-553.그리고 R.M.Hals,Ezekiel,285-347.
-21-
Ⅰ.서론 40:1-4
A.머리말 40:1
1.때 40:1a
2.사건 40:1b
B.몸말 40:2-4
위는 할스의 본문 40-48장에 대한 구조이해이다.할스는 짐멀리(본문
을 크게 3덩어리로 나눔 40:1-42:20;43:1-46:24;47:1-48:35)처럼 큰 덩어리
로 나누고 그 다음 세부적으로 나눈 것이 아니라 큰 덩어리 없이 16부분으
로 나누고 있다.31)할스와 짐멀리의 본문구조에 있어 다른 점은,우선 짐멀
리의 구조이해 중 첫 부분이 다른데,짐멀리는 할스의 첫부분(40:1-42:20)
을 6부분으로 더 세부적으로 나눈다.그리고 할스는 짐멀리의 45:1-8;45:9
부분을 한 부분으로 나누고,짐멀리의 43:18-27 부분을 할스는 43:13-17;
43:18-27로 나눈다.40:1-37,47:-49;41:1-4a부분을 예언의 근본 핵심으로
보고 있는 할스,짐멀리의 3개의 큰 덩어리 중 Ⅰ-A부분(40:1-37,47-49;
41:1-4)이 가장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 부분을 역사비평적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하여 예언의 핵심부분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이러한 견해는
정경적 형태로의 전체 본문을 인위적으로 재구성했다는데 그 문제점이 있
다.그래서 본문 40-48장의 본문 전체를 그 자료층을 염두에 두되 전체 본
문을 한 이야기로 파악하려고 했을 때 어떤 구조가 가능할 지 몇 가지 생
각을 해보았다.
그 첫째 가능성은 전체를 동일한 무게를 가진 7개의 문학 단위로 나눌
수 있는데,본문이 가지는 주제와 내용에 따라 본문은 크게 7개의 덩어리
의 이야기로 나누어진다.본문 40-48장은 각각 그 주제와 본문을 이끌어
가는 몇 가지 중심어(데리고 가다,나 주 하나님의 말이다,측량하다 등)로
서 다음과 같은 본문 단위로 분석이 가능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1)R.M.Hals,Ezekiel,285-286.
-22-
1.이동 40:2
2.사건의 내용 40:3-4
a.본 것 40:3
b.들은 것 40:4
Ⅱ.성전 건축물의 측량 40:5-42:20
A.여행의 시작 40:5-16
1.담 40:5
2.동문 40:6-16
B.지성소에로의 여행 40:17-42:14
1.동문-지성소 40:17-40:49
2.지성소 41:1-26
3.지성소-동문 42:1-14
C.여행의 마감 42:15-20
1.동문 42:15a
2.담 42:15b-20
Ⅲ.야웨 영광의 귀환 43:1-9
A.야웨,성전에 돌아오다 43:1-4
1.동문으로 이동 43:1
2.환상보도 43:2-4
a.환상보도 선언 43:2a
b.환상 43:2b-4
B.야웨,말씀하다 43:5-9
1.성전 안 뜰로 이동 43:5a
2.환상보도 43:5b-9
a.환상보도 선언 43:5b
b.야웨의 말씀 43:6-9
Ⅳ.성전법 43:10-46:24
A.번제단 43:10-27
1.소개 43:10-12
2.번제단의 규격 43:13-17
3.번제단의 봉헌 43:18-27
B.성전법 44:1-46:18
1.동문 44:1-3
2.규례들 44:4-46:18
C.부록-성전부록 46:19-22
1.제사장의 부엌 46:19-20
2.백성들의 부엌 46:21-22
Ⅴ.생명강의 흐름 47:1-12
A.성전에서 흘러나오는 생명강 47:1-6
1.기점 47:1-2
2.측량 47:3-5
3.측량자의 말 47:6
B.생명강의 기능 47:7-12
-23-
1.풍경 47:7
2.살아나는 땅 47:8-12
Ⅵ.지파에 배분한 땅의 경계 47:13-48:29
A.땅의 경계 47:13-23
1.선언 47:13
2.땅의 경계 47:14-21
3.이방인에 대한 규례 47:22-23
B.지파의 토지분배 48:1-29
1.북쪽 지파 48:1-7
2.거룩한 땅 48:8-22
a.거룩한 땅(제사장의 몫) 48:8-14
b.속된 당(성읍과 왕의 몫) 48:15-22
3.남쪽 지파 48:23-29
Ⅶ.결론 48:30-35
A.성읍의 문 48:30-34
B.성읍의 이름 48:35
Ⅰ.서론 40:1-4
A.높은 산으로 가다 40:1
B.안내자를 만나다 40:2-4
Ⅱ.본론 40:5-48:29
A.야웨의 임재/도래 40:5-46:18
1.성전 측량:이동 40:5-42:20
2.야웨의 말씀 43:1-46:18
B.야웨도래의 결과 46:19-47:12
1.생명강 측량;이동 46:19-47:12
2.야웨의 말씀 47:12-48:29
Ⅲ.결론 48:30-35
A.성읍의 문 48:30-34
B. 성읍의 이름 48:35
이와 같은 결과는 다시 정리가 필요하다.본문전체(40-48장)를 서론
(40:1-4)과 결론(48:30-35)이라는 틀로 생각한다면 그 중간 부분
(40:5-48:29)은 본론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면 그렇다면 다시 다음과 같은
구조가 가능해진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한 가지 문제점이 드러난다.우선 서론과 결론이
-24-
라는 짝이 어색하다는 것이다.서론은 예언자가 권능의 손에 의해 높은 산
에 움직여 가서 안내자를 만나는,그래서 앞으로 예언자가 보게 될 환상이
어떤 의미와 목적을 가지는지를 듣게 되는 장면이 등장한다(40:1-4).이 때
이 본문은 두 가지의 성격을 지닌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그 첫째는 환
상의 시기를 나타내는 구(40:1a)이고,둘째는 예언자가 겪게 될 환상을 상
징적으로 예표하고 있는 일단의 동사들이 등장하는 문장(40:1b-4)들이다.
예언자가 본 환상,새 성전과 이스라엘에 도래할 새 질서가 성읍의 문이나
성읍의 이름의 기술로서 상징적으로 묘사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새
성읍의 주제가 본론을 이끌어 가는 주된 동기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 성읍
의 문과 이름을 말하고 있는 본문(48:30-35)은 본론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렇다면 본론은 40:1-4을 제외한 40:5-48:35전제가 된다.이 본론 부분은
다시 크게 둘로 나뉜다.각각 다른 기사를 전하는 본문이지만 이들을 연결
하는 문학적 장치는 예언자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어, בוא (hecame), מדד
(hemeasured), אדני אמד כה (thussaysLord God)- יהוה אדנינאט
(saystheLord God)이다.한 문학 단위(40:5-42:20)에서 예언자는 이동하
고 측량하고,그 다음에는 야웨의 말씀을 듣는다(43:1-46:18).다음에는 다
시 예언자는 이동하고 측량하고(46:19-47:12),다시 야웨의 말씀을 듣는다
(47:13-48:35).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성읍과 그 문과 이름을 말하고 있는 본문도
야웨의 말씀이라는 형식 속에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그러므로 예언자의
이동,측량 본문을 a(40:5-42:20;46:19-47:12).야웨 말씀의 이해는 청종 본
문을 b(43:1-46:18;47:13-48:35)이라고 할 때,이러한 본문의 이해는 본론
부분을 a-b-a'-b'라는 구조로 형상화시킨다.이 구조는 예언자의 이동과
측량을 나타내는 본문 a보다는 그 후 듣게 되는 야웨의 말씀 본문 b에 그
강조점을 두고 있다.예언자를 동행한 안내자의 측량과 이동은 각각 성전
의 내부(40:5-46:24)와 이스라엘의 영토 안(46:19-48:35)에서 이루어진다.
-25-
Ⅰ.서론 40:1-4
A.환상을 본 시기 40:1a
B.환상의 목적 40:1b-4
Ⅱ.본론 40:5-48:35
A.성전에서의 사건 40:5-46:18
1.예언자의 새 성전 여행 40:5-42:20
a.여행의 시작 40:5-16
b.지성소에로의 여행 40:17-42:14
c.여행의 마감 42:15-20
2.성전법 43:1-46:18
a.야웨의 귀환 43:1-18
b.성전법 444:1-46:18
B.이스라엘 땅에서의 사건 46:19-48:35
1.생명강이 흐르다 46:19-47:12
a.측량 46:19-47:6
b.안내자의 말 47:7-12
2.땅의 새질서 47:13-48:35
a.토지분배 47:13-48:29
b.성읍의 이름 48:30-35
예언자의 공간이동은 성서 본문의 배경을 성전 내부와 외부,크게 두 가지
로 구분하고 있는 셈이다.이 모든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본문 40-48장은 성전(40:5-46:21)과 이스라엘 땅(47:1-48:35)에서 일어
나고 있는 사건과 야웨의 말씀을 전하고 있는 본문이다.그리고 이 모든
사건의 발단은 야웨의 영광이 떠나 버렸던 성전에 다시 야웨가 돌아오신
사건이다.43:1-5에 시작되는 야웨의 임재를 알리는 본문은 40-48장을 이
끌어가는 가장 기본적인,그러나 중요한 사건을 전하고 있다.이 사건을 위
해 예언자는 성전 측량과 여향(40:5-42:20)을 감향해야만 했고,이 사건으
로 인해 광야와 같았던 이스라엘은 살아났으며(47:1-12),이스라엘 전 영토
에 걸친 토지의 재 분배로 상징되는 새 질서가 도래하였다(47:13-48:29).
야웨의 구원의 드라마는 성전의 부정함으로 인해 성전을 박차고 더나야만
했던 야웨의 영광이 정결한 새 성전에 다시 돌아와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26-
성전을 포기하고 새 이스라엘의 회복을 생각할 수 없었던 에스겔에게 있어
새 성전,그것은 이스라엘의 회복이라는 구원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다.다음으로는 본문 40-48장에 대한 유형․ 삶의 자리․ 의도를 알아본
다.
2)본문의 유형
본문은 거대한 자료층이 하나의 단일 예언의 환상 보도로서 결합되어
있다.그렇지만,내용과 유형의 많은 주제들은 표면적으로 단일화된 인상을
주는 본문에 설명을 요구한다.환상 안내 공식이라는 이야기체식으로 전개
되는 틀을 가진 본문은 그의 안내와 예언 운동을 추적해 나가고,전 우주
의 일련의 요소를 언명하며,비교적 큰 전장으로 사라진다.본문에 있는 대
부분의 단위들은 보여진 것,즉 환상보도 묘사에 대한 형식을 취하면서도
본문의 양식은 앞 부분 다음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으
며,그 형식이 44장에서 시작되는 규례에 대한 긴 총서로 바뀔 때는
47:1-12까지 확장되더라도 환상보도로는 되돌아오지 않는다.결론은 다음
을 피할 수 없다.이는 환상안내공식 계열에 의해 구성된 환상보도의 초기
구조가 단지 40:1-44:4시작부분에서 일관된 통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
른 자료들과의 통합에 의해 계속하여 퇴고되어 왔다는 것이며,그로부터
결론은 거의 다루기 힘든 것이 되었고,환상구조에 대한 요약은 일련의 희
미한 의미를 주장하기 위해 발생할 뿐이라는 것이다.아주 첫 번째 부문인
40-42장에 있는 것이라도,어떤 일부문은 주변 양식으로부터 일탈하는 강
한 암시를 준다는 것이다(예를 들면,40:38-46;41:15b-26;42:1-14).32)
이전의 학문은 40-48장의 문학사를 더듬어 조사하려고 시도해 왔는데
이는 어떤 중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수반한다.40-42장에 성전 자체 묘사의
발전에 관한 상대적인 동의가 존재한다.40:1-37,47-49부문과 41:1-4a부
32)RonaledM.Hals,Ezekiel,286.
-27-
문이 근본 핵심을 이루는데,이는 41:15와 42:15-20에 의해 첫 번째로 확장
된 부문이며,그리고 나서 이를 생각나게 하는 이들에 의해 확장된 부문이
라는 것이다.그래서 43:1-12에서 나타나듯 근본적이고 중요한 장소가
43-46장에서 따르는 것으로 사용한다.성전이 40-42장에서 완전하게 그려
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양쪽 동문을 통해 귀향하시는 야웨의 영광이 재
헌신함으로써 다시 섬길 성전 묘사를 결론지으며,동문을 통해 야웨 영광
의 입성이 있은 후에 영구히 동문은 닫혀지기 때문에 그것에 따른 절대적
인 역할을 수행한다.닫혀진 동문의 이같은 현상은 44:1-2과 46:1-12에서
희생제물 식사를 위한 동문 현관 사용에 관하여 왕은 부분적인 예외를 이
끈다.그러나 성전 제의에 있어 왕과 그의 역할은 한 번은 소개 되었는데,
제사장과 희생제물과 재신에 관한 일련의 전제의 규례는 44-46장에 있는
장면에서 뒤집어 진다.이 자료의 대부분은 제사장과 왕의 역할이 일치함
에 특별히 상호 연관성이 있다.과거의 학문은 문학적으로 상호 연관성이
있는 시중드는 자들을-사독계열 제사장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과 왕의 역
할-밝히기 위한 시도에 빠져 있었다.이것은 참으로 확실한 상호 연관성이
존재하며,문학적으로 종속물이라는 인상을 주는 경우이다.40:46b,43:19,
48:11이 특별한 경우인데,이는 교정 수정된 것으로써 44:31에서 딴 방법으
로는 명백하지 않는 이 시각으로 사독계열 우선의 관점을 삽입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증거가 입증될 수 있기에 충분하다.게제는 사독계열 시중
드는 이의 이야기라고 말할 수 없다고 본다.33)게제와 짐멀리는 왕에 관한
자료조차도 주제에 있어 어느 정도로 공동체의 것을 본래적으로 가지고 있
다고 보며,시중드는 이를 실제로 구성하지 않는다고 본다.
47-48장은 야웨의 귀향이 환상 보도 형식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성전
바깥 당에 일반적인 초점을 두며,상대적으로 독립된 부문을 구성한다.
33)H.Gese,DerVerfassungsentwurfdesEzechiel(BHT 25;Tübingern:Mohr,1957),
112-113,114-120.W.Zimmerli,Ezekiel2,550-552재인용.
-28-
47:1-12에 대한 환상 구조 기능에 대한 순조로운 회복은 성전 현관이 강의
근원지임을 이 구절들은 기술한다.그것의 근접한 연관성은 어쨌든 연속적
인 환상 보도로써 43:1-9의 상호 연관성은 44-46장에서 그런대로 반복적으
로 일어난다고 볼 수 있으며,이는 47:1-12을 앞으로 이동시킬 이유를 납
득시킬 수 없다.사실상,그 이유를 납득시키려 한다는 것은 47:13-48:29이
47:1-12에서 야웨의 임재에 의해 신성화된 땅을 구체적으로 바라봄이 계속
되는 것에 의해 논리적인 연결부의 파괴를 불러 일으킨다.48:29다음에 이
어지는 부록으로 약간 연결되어 있는 48:30-35은 다소 상이한 방법으로 취
급되는데 그 이유는 이미 48:15-20에 나타난 도시 때문이다.그래서 우리
는 40-48장이 정말로 끝이 아니라는 것에 주목한다.그 환상은 환상이 다
시 시작되는 구조적인 원칙의 이유를 완벽하게 할 정도로 마지막 환상 안
내 공식은 어떠한 결론도 제시하지 않는다.또한 3:15에서처럼 환상의 충격
에 대한 어떠한 보도도 없으며,40:4에 명령된 것처럼 그리고 11:15에서 주
어진 것처럼 그 어떠한 구원의 메시지에 대한 보도도 없고,37:14에서 나타
난 것처럼 그러한 결론 공식조차도 없다.더군다나 에스겔서에 있는 네 개
의 모든 중요한 환상 보도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이 부분은 끝
맺음이 표시되지 않은 유일한 곳이다.48:35b에 나타난 도시에 대한 인상
적인 이름의 수여는 40-48장 전체에 대한 역할을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작게 부가된 일부분의 구역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 열심히 봉사하라는 것이
다.이것의 이유는 모든 점에서 그 초점이 도시의 확장보다는 정의에 있기
때문이다.34)
4.본문의 삶의 자리와 의도
과거 학문적인 세대들의 문학-비평학적인 층화 방법에 대한 추구는
사리에 맞는 자료와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연대 층의 명확한 의도 하에서
34)RonaledM.Hals,Ezekiel,267-287.
-29-
역사적인 상황을 밝히기 위한 욕구에서 유래했다 여전히 어느 정도까지는
짐멀리의 접근을 따르는데 그의 접근 방식을 보면 다음과 같다.35) 짐멀리
는 팔레스틴으로의 귀향이 가까운 장래에 이루어지며 다윗 계열 지도자에
대한 긍정적인 희망이 발전할 수 있는 시기를 나타내기 위해 왕에 대한 계
획을 보여 준다는 접근이다.명백히 그러한 긍정적인 희망이 스룹바벨의
운명과 함께 슬픈 종말을 맞게 됨으로,이 좌절된 희망은 40-48장중에서
한 부분의 연대를 -주전 573년(40:1)과 초기의 귀향 시기-추정 가능케 한
다.마찬가지로 유일한 제사장으로써 사독계열을 유독 강조한 것은 포로기
와 포로후기의 투쟁의 역사 속에서 이스라엘의 제사장으로 보는 관점에 대
한 반영으로 보여진다.여기서 안타깝게도 역사적인 배경 정보가 불충분하
여 연대를 추정함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적어도 에스겔서에서 대제사장
에 대한 언급이 결여된 것으로 보아 제사장에 관한 모든 자료가 대제사장
이 탁월하게 여겨졌던 주전 520년의 공동사회를 예상했음을 확실케 한다.
다시 말해서 제사장의 유래에 대한 전거로써 에스겔서와 모세오경 사이의
관계가 상당히 복잡한 분야가 되었다는 의미이다.36)
문학적-비평학적 분석 방법과 역사적인 개조 방법에 대한 가치를 부
인하려는 의도는 아니다.그렇지만 다음의 방법을 주장케 한다.환상의 자
료가 다윗 계열 지도자의 것인지 또는 사독계열 제사장의 것인지 나타내주
는 새로운 양식이 명확한 목적에 의해 근본적으로 특징 지워지지 않았기
때문에 40-48장의 경우에서 그다지 성과 있는 검증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
다.그보다도 40-48장에서 강조하는 바는 원래 부정적인 의도를 지니고 있
다.왕의 중요성이 과거의 왕들(43:7-9)같지 않은 것으로 단독적이라고 터
무니없이 표현한 것은 그의 제사 역할이 온당한 것이며,그의 소유권들이
최소한 온당하다는 것이며(45:7-8a와 48:21-22),재산과 관계있는 그의 역
35)W.Zimmerli,Ezekiel2,552-553.
36)RonaledM.Hals,Ezekiel,287-288.
-30-
할이 전적으로 부정적인 방법으로 진술되는 것이다(45:8b-9와 46:16-18).
마찬가지로 모든 것이 사독 계열을 특별하게 만든다.사독계열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레위인들이 했던 것처럼 그들은 타락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44:15와 48:11).그리고 사독계열에 관한 것이 이미 주목할 만한 양식으로
에스겔의 모든 약속의 메시지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면,이것들의
상세한 기술은 단지 흩어져 있으며 연관성이 없는 작은 조각들로 남아 있
을 것으로 추정된다.34-39장에서 진술하는 것처럼 에스겔서에서 희망의
메시지를 명확한 형태로 점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진술이 과거 악한 상황의
파멸처럼 그들을 묘사하고 있다.37)이것은 왕들과 사독계열 제사장들에 관
해 말하고자 하는 것의 본질이다.43:7-9에서 보도된 것처럼 그리고 예루
살렘의 심판과 파괴에 관한 주의 결정에서 므낫세의 중요성이 역사가의 평
가에서 절정을 이루듯 신명기 사가의 많은 작품들 속에서 반복되어 있는
것처럼 왕들은 초기 성전에 대해 문제를 불러 일으켰다.왕 대신에 왕에
의해 과거의 악행들을 제거할 것이다.이것은 다음을 주목해야만 한다.
34:23 이하와 37:24에서 언급되고 있는 다윗계열 왕의 역할이 40-48장을
통하여 언급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우리는 40-48장의 왕에 관한 것에서
돌아옴(귀향)을 동맹 연합국의 전제군주 시대로-왕이 좀 더 덜한 지위에서
역할을 했던- 돌리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레 4:22과 민 7장을 보라).
병행식으로 제단 예배 전승을 보면,유독 사독자손이 제사장으로써 헌신하
기 때문에,레위인들의 제단 예배 전승은 어떤 점을 포함하고 있으며,또한
이스라엘과 유다의 파멸 이유에 대하여 일부분을 차지하며 당장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38)
37)레벤슨은 "역사의 흠을 고치심"으로 언급하며,마콤즈(G.Ch.Macholz)에 의해 비슷
하게 강조되었다.J.Levenson,TheologyoftheProgram ofRestorationofEzekiel40-48
(HSM 10;Missoula:Scholars Press,1976),86-87,94.그리고 G.Ch.Macholz,"Noch
einmal:planungerfurden Wiederaufbau nach derKastastrophevon 587,"VT 19(1969),
322-352.
38)RonaledM.Hals,Ezekiel,288.
-31-
그러나 40-48장에서 과거 악으로 인한 파멸의 주된 동기는 왕도 아니
고 사독자손도 아니다.40-49장의 모든 구성의 주된 인용구인 43;1-12절은
단순히 다음을 말하는 것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즉 모든 것이 확언된
실재가 "부정적"인 관점이라는 것과 야웨가 결코 그의 백성을 다시는 떠나
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닫혀진 동문에 관한 규율과 아마도 우월성을 동
쪽에 부여하기 위해 성전 지도 배열은 그것의 본질적인 기능이 과거 악으
로 인한 파멸에 역점을 두고 있는 부정적인 진술을 조성하고 있다고 본
다.39)
물론 에스겔서에는 약속 메시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긍정적인 차원
으로 진술이 있고,게다가 그 약속 메시지가 40-48장에 나타나 있다.이는
희망의 선포가 공식화 되었다는 다른 진술을 포함하는 것이며,신적인 행
동의 영속성에 강조점을 둔 것이다.결국 40-48장 청사진이 새 건물과 새
규례로써 새 성전이라는 것은 그것의 모든 것이 전에 것과 근접하게 닮았
다는 것이다.그러나 이는 명확한 면적이 중심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47-48장에서 보듯 변형된 땅의 새 분배로 일어나는 것이다.그러나 거기에
도 부정적인 초점이 우위를 점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강은 불모지와 심
지어 사해를-비록 필요한 소금이지만-제거할 것이고,부족의 땅 분배조차
도 평등함을-전의 부족들의 분쟁과 손실을 제거하는-이를 것이라는 것이
다.40)
이상에서 본문의 구조와 유형,배경과 의도를 살펴보았듯,누구에 의
해,어떠한 배경에,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본문과 같은 청사진을 제시하려
고 하는지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클레멘츠가 지적하였듯이,바벨론 포로 지역에서 활동한 사독계열 제
사장 집단일 것으로 추정되는 "에스겔 학파"에 의해 예루살렘의 성전예배
39)Ibid.
40)Ibid.,288-289.
-32-
행위가 그친 포로기간 중 예루살렘 제의 행위의 회복을 꿈꾸면서 예언자
에스겔의 메시지를 그들의 처한 시기와 장소에 적용시키는 작업을 진행시
켜 왔다고 볼 수 있다.바로 예언자 에스겔이 선포한 새 성전에 대한 하나
님의 말씀이 이들 사제학파에 의해 수정 보완되었으리라는 점은 의심할 여
지가 없는 것이다.
에스겔의 예언을 많은 사람들 마음 속에 야웨는 예루살렘 성전과 함께
불타버리고,결국 마르둑의 승리로 끝난 상황 하에서 이스라엘 고대 야웨
종교의 신앙이 영원히 상실되지 않았는가 하는 의심을 지워버릴 수 없었던
포로기 시대 때,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방황하는 이들에게 하나님의 말씀
을 선포한 것이다.에스겔이 예언한 바벨론 포로 시기는 이스라엘의 정치
및 종교적 역사에 있어서 대전환을 가져온 획기적인 포로사건이었다.다윗
과 솔로몬이 이룩해 놓은 이스라엘이란 국가체계는 예루살렘성이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군대에 의해 초토화됨으로써 독립된 왕정체제를 영원히 상실해
버리고 만 것이었다.고대 근동의 역사란 역대 왕국의 흥망성쇠의 기록이
나 다름없었으며,대부분 신흥 세력에 의해 짓밟혀진 국가는 그 나라의 민
족성이나 문화도 새로운 강대국에 의해 흡수되어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져
버리게 되는 것이었다.그러나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이스라엘의 경우 독립
된 국가로서의 정치적인 역사는 끝났지만 하나의 백성으로서의 종교적인
역사는 계속되며,오히려 바벨론 포로 사건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의
신앙 공동체로 결속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이 주목을 끌고 있다.이
것은 이스라엘 주변의 모압이나 암몬과 같은 나라가 정치적인 파국과 더불
어 그들의 국가 종교와 국가 신이 완전히 자취를 감춘데 비해,이스라엘의
신 야웨는 오히려 그의 예언자들을 통해 더 크고 분명한 메시지를 선포하
여 그 소리가 팔레스틴이라는 조그만 영토의 범위를 넘어 바벨론 대제국의
세계무대에까지 그 위용을 높이 드러낸 것이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포로 사건이라는 엄청난 국가적인 재난을 당하면서
-33-
그들 민족이 조상 때로부터 물려받아 이어 온 민족정기 또는 "얼"의 정체
와 그 값어치가 무엇인가를 새삼스럽게 정리하게 되었다.그들 생활의 일
부가 되었던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한 제사장들의 "종교생활"에 대한 외침
이 이제 예배 처소와 정든 고향을 잃어버린 의지의 실향민들에게 새롭게
평가되며,제사장들의 예배 집행 순서 하나하나와 예언자들의 가르침 한
구절구절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새삼 음미하게 된 이스라엘 포로기간 중 누
구보다도 이스라엘 고대 전승을 새롭게 해석하여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신학을 에스겔이 제시하였다.바로 이스라엘의 새 출애굽과 하나님의 새
구원사의 선포인 것이었다.에스겔의 "나는 야웨라"는 철두철미한 하나님
의 거룩성에 대한 확신이 결국은 이스라엘에게 새 희망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야웨는 목자로서 새 출애굽 사건을 다시 일으켜 이스라엘을 고국으
로 인도할 것이며,새로 지은 성전에 임재하심으로 그의 백성과 영원히 더
불어 같이 지내게 될 것이라는 그러므로 바벨론 포로기라는 뜨거운 용광로
속에서 연단된 새로운 공동체가 태어나게 된 것이라고 에스겔은 예언하였
다.다시 말해 야웨의 구원의 드라마는 성전의 부정함으로 인해 성전을 박
차고 떠나야만 했던 야웨의 영광이 정결한 새 성전에 다시 돌아와야만 이
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그리고 성전을 포기하고 새 이스라엘의 회복을
생각할 수 없었던 에스겔에게 있어서 새 성전,그것은 이스라엘의 회복이
라는 구원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인 것이다.
특히 본문 40-48장 마지막 두 글자(48:35)는 새로 바뀌어진 예루살렘
성의 이름을 나타내는데,그 새 성전의 이름은 "야웨 삼마"(야웨가 거기 계
시다)이다.예루살렘 성전을 떠나 야웨의 영이 다시 찾아온 다음에야 땅이
회복되며 새로운 공동체가 태어나게 된 것이다.야웨가 그곳에 계심으로
인해 생명이 회복되며 희망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한 개인이나
공동체 그리고 심지어 예배 처소인 예루살렘 성전과 그 도시에 야웨가 계
실 때에만 거기에 생명이 존재하는 것이다.이와 같이,에스겔이 환상 중에
-34-
본 새 성전의 청사진은 포로기의 신학적 위기에 대한 예언자 에스겔의 위
대한 처방으로 하나님의 계심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하나님의 역사 속에
서 왜 활동하지 않으셨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
다.
-35-
Ⅲ.에스겔 40-48장의 성전구조
에스겔은 이스라엘 회복에 대한 그의 메시지에,사독 자손 제사장들을
이스라엘 배교 때의 신실한 제사장으로 표현했다(44:15;48:11).40-48장에
묘사된 신정정치는 제사 제도가 중심을 이룬다.새 성전은 지극히 높은 산
위에 세워진 성읍 형상의 것이며(40:2),사독의 자손 레위 제사장만이 이
성전에서 여호와를 섬길 수 있다.에스겔도 사독 가문의 일원이자 예루살
렘 제사장 중에서 요직에 있었다.40-48장에 나타난 제사제도는 신명기 법
전 뿐 아니라 P문서의 그것과도 다르다.후자의 합법적 제사직이 아론 자
손에 국한 된 것은 에스겔에 있어서 사독파와 레위파를 구별하는 것 같이
아론 자손과 레위 사람을 구별한다.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백성들에게 요
구된 거룩함은 제사장직 가운데서 상징화 되고 있으며 제사장직이 계약의
중재자가 된다.41) 사독자손의 제사장에42) 집착하는 것,그리고 성전을 중
심으로 하는 예배 공동체로서의 이스라엘을 향한 관심으로 에스겔은 그의
두 면모,제사장과 예언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43) 40-48장의 본문은 포
로기의 삶의 자리는 그럴 수있는 처지가 비록 아닐지라도 에스겔의 성전
제사를 관장할 제사장으로서의 면모와 야웨께 받은 말씀을 이스라엘 백성
에게 전해야 하는 예언자로서의 면모를 함께 증언하고 있다.그렇다면 사
41)J.P.Spencer,“Aaron,”AnchorBible dictionary,Vol.1(New York:DoubleDay,
1992),1-6.
42)구약성서와 이스라엘 역사는 하나의 제사장만을 말하고 있지 않다.사독계열 사제와
함께 아론 계열 사제,레위 제사장 등이 모두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제사장의 부류 속에 들
어가고 있다.문제는 이들 제사장 등이 모두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제사장 그룹 속에 들어
가고 있다는 데 있다.문제는 이들 제사장 그룹들이 신앙과 신학이 서로 다르다는데 있다.
이들은 결코 하나의 색깔을 지니고 있지 않다.예를 들어,사독계열 사제가 체제 유지적이
라면,아론 계열 사제는 체제개혁적이다.구약성서 레위기와 민수기는 아론계열 사제를,신
명기는 레위 제사장을 각각 제사장으로 인정한다.솔로몬의 성전을 관장하는 제사장으로서
에스겔서에 등장하는 제사장은 사독계열 제사장이다.왕대일,“회막,성전,회당 그리고 교
회”,25.
43)G.Fohrer,「구약성서개론(하)」,292-293.
-36-
제직 계승에 관한 전승과 사독계열 제사장들에 대한 전 이해를 통해 그들
이 그렸던 새 성전에 관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자 한다.
1.사제직 계승
"누가 사제직을 수행하는가?"하는 물음에 대해 P문서는 레위지파 중 한
가문인 '아론과 그의 자손'이라고 말한다.에스겔은 '아론의 자손'을 '사독
의 자손'으로 대체시킨 것 외에는 P문서의 관점과 같다.P문서나 에스겔
모두 레위인들에게 열등한 거룩함이 있음을 인정하였다.왜 에스겔은 레위
사람들을 열등한 제사장 계층으로 분류시켰을까? 에스겔은 44:40-41에서
레위인들이 외국인으로 교체됨을 이야기 한다.레위인들이 우상숭배의 못
된 길로 빠진 죄로 인하여 그들은 그들의 죄악을 담당할 것이며,더 이상
제사장으로 수종을 드릴 수 없으며,부끄러움과 가증한 일을 담당할 것이
라고 말한다.그러면서도 야웨는 그들을 성전의 종으로 삼을 것이라 중재
적인 말을 던진다.이에 오직 제사장으로써 의 사독자손에 대한 언급은
44:15-16으로 이어진다.그들을 택한 이유는 그들이 레위인들처럼 타락하
는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에스겔은 레위인들을 열
등한 제사장 계층으로 분류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D문서에 따르면 레위지파의 모든 남자는 택한 곳에서 사제가
될 수 있었다.그러나 성소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제단에 참석하지 못하는
레위인은 보통 평민과 마찬가지로 취급되었다.44)J문서와 E문서에서도 족
장들이 제단을 쌓고 제사를 바치는 이야기가 나오는 등,모든 이스라엘 사
람이 사제직을 수행했음을 보여주고 있다.그러나 이는 사제와 관련된 성
전이 아닌,도처에 산재해 있는 개별적인 제단들에 관한 이야기이다.45)사
44)Menahem Haran,Temple and Temple-Service in AncientIsrael(Oxford,1978),
58-63.
-37-
제직에 관한 한 J와 E는 D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레위 지파에게 주어졌다
는 점을 당연시하고 있다.46)
따라서 구약의 모든 자료들은 처음부터 사제직이 레위지파에게만 주어
졌다는 점에 일치한다.다만 레위 지파 내에서 그것이 어떻게 기능했는가
에 대해 견해가 다른 것이다.사제계열의 학파 중 P의 경우는 아론의 자손
에게만 한정되었다고 보며,에스겔의 경우에서는 사독의 자손에게만 한정
되었다고 보는 반면에,비 사제 계열에서는 레위지파 전체에게 주어졌다고
본다.다만 J와 E의 경우는 기존의 여러 성소에서 사제직을 수행할 수 있
었던 반면,D는 오직 선택된 한 곳에서만 사제직이 수행될 수 있다고 보았
다.그 밖에 사제가 아닌 지방에 거주하는 레위인은 여타 이스라엘 사람과
다를 바가 없었다.47)
오늘날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사제직에 관한 고전 이론에 따르면 이스
라엘에서 사제직의 시작은 왕조성립과 더불어서 나타났다는 것이다.실로
의 엘리,눕의 아히멜렉으로 대표되는 왕조이전 초기의 사제직은 제사를
드리는 일보다는 성소의 문지기로서 신상을 지키고,점치며 축사하는 일을
맡아 보았다는 것이다.48) 그러나 고대 이스라엘의 사제직을 단지 점치고,
축하는 것뿐이었다고 볼 증거가 별로 없다.이스라엘의 사제직은 아주 고
대적인 산물이며,실제로 사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49)일반적으로 사
제 가문은 자신들의 선조를 모세에 소급시킴으로써 자신들이 레위지파에
속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50)따라서 어떻게 이른 시기부터 사제직의 특
권이 레위 가문에 할당되었는가 하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레위 지파는
45)Ibid.,63-65.
46)Ibid.,66-67.레위지파가 사제직을 받은 것은 특히 J의 단편인 출 32:25-9의 '황금 송
아지'사건과 관련해서 언급되고 있는데,그것은 그들이 우상 숭배를 한 자기 가족과 친척
을 가차없이 죽일 정도로 하나님에 대한 열심히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신33:39).
47)Ibid.,70.
48)Ibid.,71-73.
49)Ibid.,73-76.
50)Ibid.,78-79.
-38-
야웨 종교의 최초의 전파자인 모세에게서 유래하며 이들은 이 신앙을 다른
지파에 전파하였다.따라서 모세 이후 이 지파는 사제직에 봉헌된 것으로
이미 간주 되었을 것이다.51)
사제직이 레위지파에만 해당된다는 원칙에는 두 가지 문제가 따른다.
첫째로 레위 지파 중 누가 실제로 사제직을 보유하는가?-아론의 자손인가,
아니면 달리 정해진 집단인가-하는 문제이고,둘째로 사제가 아닌 레위인
은 제사 기능을 맡는 것이 불가능했고,기껏해야 사제에 종속된 신분일 뿐
이었는가,아니면 그들에게도 사제직이 열려 있었는가 하는 문제이다.52)
P기자는 아론 자손에게 13개 성읍(유다/시므온 9개 + 베냐민 4개)을
할당하고 있으며,나머지 레위 지파에는 35개 성읍을 할당하고 있다.그런
데 아론 자손의 성읍은 유다,시므온,베냐민 지파의 영역에만 분포하고 있
으며,아론 자손과 비사제 레위인이 공유하는 성읍은 하나도 없다.따라서
이 둘 사이의 경계선은 남북 지파간의 경계선에 해당하며,결국 남부 지파
의 레위인은 무흠한 사제들로 인정된 반면에 북부지파의 레위인은 사제직
의 권리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53)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J,E,D가
말하는 아론 자손이란 남부 지파에 거주하는 레위인을 말한다고 할 수 있
다.54)
사제가 아닌 레위인의 지위가 문제가 된 것은 북부 출신 레위인이 유
다나 베냐민 지역의 성소에 왔을 경우이다.이런 점에서 볼 때,예루살렘에
서 레위인의 문제가발생하게 된 것은 특히 북왕국 멸망 이후 히스기야 치
세 때라고 믿을 만한 그럴 듯한 이유가 있다.
51)Ibid.,81-82.
52)Ibid.,84.
53)Ibid.,84-85.아론 자손과 나머지 레위인 간의 긴장 관계는 P문서 안에서도 나타나
있다.바로 고라와 그의 무리가 모세와 아론에게 불평하고 반란을 일으킨 이야기인데,고라
는 고핫 자손으로서,이들은 P에 따르면 북부 왕국에 속한 에브라임,단,므낫세 반지파의
영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54)Ibid.,87-88.
-39-
요시야의 종교개혁은 산당에 대해서는 단호한 태도를 취했지만 산당의
사제들을 레위인으로 바꾼 것도 아니고,성전에서 수행하는 정식 사제들의
권리를 박탈한 것도 아니다.따라서 이 개혁은 사제와 레위인의 계급 형성
과는 별로 관련이 없다.55)
예루살렘 멸망 이후 에스겔은 사제직을 사독 자손에게 한정시키고,사
독 자손이 아닌 사제들은 레위인 반열로 강등 될 것을 말했는데,이것은 P
이후의 발전된 양상을 반영한다.따라서 '아론 자손'은 '사독 자손'이 발
전․ 확장된 것으로 설명할 수 없다.56)따라서 하란은 포로후기에 레위인
들이 소수였다는 사실에 비추어,레위인이 사제들보다 몇 배나 많은 것으
로 기술하고 있는 P자료가 포로기 후기 상황에 뿌리박고 있다고 보는 통
설에 동의하지 않는다.57)
그런데 에스겔이 레위인으로 강등시킨 비사독계 사제들은 누구를 말하
는 것일까?므낫세가 도입한 우상 숭배에 고용된 사람들은 예루살렘 사제
들 중 일부로서,성전 사제단의 주류가 아닌 유다 지방 사제들이거나 북부
출신이었을 것이다.그러나 사독 자손은 성전 사제단에서 끊어지지 않았고,
므낫세 치세 동안에도 정통 제사의 충실한 수행자였던 것 같다.58)
에스라 시대에는 사제 문서는 토리의 중요 부분이 되었고 모든 사람들
이 레위인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그러나 이 시기에 레위인의 수효는 매우
적어서,레위인을 거쳐서 받아야 될 십일조를 직접 수령하였다.이렇듯 P
문서와 포로 후기 상황 간에는 실제적인 관련성이 결여되어 있다.59)
55)Ibid.,99-101.
56)Ibid.,102.
57)Ibid.,92-97.
58)Ibid.,103-107.
59)Ibid.,108-109.레위인의 숫자가 이렇게 줄어들게 된 것은 포로 후시에는 사제직을
사독의 자손들에게만 제한하는 좁은 원칙이 사라지고,아론 자손들 전체가 사제로 인정되
었기 때문이다.따라서 레위인으로 간주될 사람은 북왕국 출신의 사제 가문들 뿐이었다.
-40-
2.사독계열 제사장
40-48장은 레위인과 제사장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온 본
문이다.40-48장은 새 성전에 대한 에스겔의 이상을 담고 있으며 백성 가
운데 거룩하게 임재하시는 하나님의 현현을 보여주며 미래의 신정 사회의
비전을 보여주고 있다.이 새 성전의 건설을 위해 에스겔은 특별히 성전을
관리하는 자들의 성결을 요구한다.그 당시까지 성전에는 전쟁 포로 출신
의 이방인들을 고용하여 레위인을 도와 성전의 천한 일을 시키던 관행이
있어 왔다(민수기 31:28-30,40-41;여호수아 9:23,27).에스겔은 이들 할례
받지 않은 자들을 성전 봉사에서 완전히 배제할 것을 주장한다(44:6-9).
그의 엄격한 성결에 관한 기준은 레위인들에게 징계를 내리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레위인들은 "이스라엘이 방황할 때 그들의 우상을 쫓아 나(하
나님)로부터 떠나갈 때 나로부터 멀리 떠나간"(44:9-14)죄를 범하였다.에
스겔은 이런 죄를 범한 레위인들에게 이제 더 이상 제단에서 제사장 임무
를 수행하지 못하게 제사장 직에서 박탈당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44:12-130.그 대신 그들이 맡게 될 일은 바로 이방 노예들에 의해 수행되
었던 천한 일- 곧 번제물과 희생제물을 죽이는 일이 될 것이다고 하였다
944:11).
성전에서 레위인의 지위 하락은 상대적으로 사독계 제사장들의 세력 성
장을 의미한다.더구나 에스겔은 사독계 제사장들이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범죄할 때에 충성되게 남아 있었던 사람들을 묘사하며 앞으로의 제단 봉사
는 예루살렘의 사독계 제사장들에게 제한한다고 선포하였다.60)
이렇게 에스겔서로 인하여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신분과 직분은 더욱
확연한 차이가 나게 된다.예컨대 40:46"북쪽을 향한 저 방은 제단 일을
맡은 제사장들의 방이다.그들은 레위 자손 가운데서도 주께 가까이 나아
60)R.Abba,“PriestandLevitesinDeuteronomy,”VT,Vol.27.(1977).3.
-41-
가 섬기는 사독의 자손이다"라고 되어 있으며 43:19과 44:15에도 사독이 레
위 자손이라는 표현을 찾아 볼 수 있다.이것은 사독계가 신명기로부터 형
성된 "제사장은 반드시 레위 자손이어야 한다"는 여론에 굴복하여 내린 조
치라고 여겨진다.61) 자신들을 레위 자손으로 만듦으로써 사독계는 여전히
제사장직 독점 체제를 유지하였고 레위인들은 더 하위 그룹으로 전락하였
다.에스겔서에서 사독 제사장의 위치가 더욱 확고하게 다져진 것이다.62)
에스겔서의 기록대로 과연 포로기 이후의 제사장직은 사독계가 독점하
였고 왕을 대신하여 절대 권력을 누림을 볼 수 있다.그러나 에스겔서가
말하는 레위인의 범죄 행각이 역사적 사실인지 만약 사실이 아니라면 어떤
의도로 기록되었는지에 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분열 왕국 시대부터 바벨론에 의해 멸망되기까지 유다에서 최고의 왕
립 제사장직을 차지했던 자는 사독계 제사장들이다.그런데 그 시대의 역
사는 우상숭배로 인한 뚜렷한 야웨 절대주의 신앙의 쇠퇴를 보여주며 특히
부패는 왕실에서부터 시작되었던 적이 빈번하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사장들이 이러한 부패에 맞섰다는 기록은 전혀 없고 왕의 우상 숭배를 방
조하거나 혹은 이를 개혁하려는 왕의 의지대로 수동적으로 움직였을 뿐이
다.물론 왕립 제사장으로서의 그들의 종속된 위치가 감안되어야 할 것이
다.그들은 성전 관리나 예배에 마저 소홀하였고(왕하 12),유다 말기에는
예레미야에 의해 그들의 우상숭배,거짓 예언 등의 죄악상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렘 2:8;5:31;6:13).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은 레위인들의 배교와 이로 인한 실각이나 사독
계 제사장들의 변함없는 충성에 관한 기술에 대한 진실성에 적잖은 타격이
된다.그리고 에스겔서가 신명기 바로 뒤에 나왔으며 제의와 제사장에 관
한 진술 내용이 상반된다는 점에서 에스겔서가 신명기서를 반박할 목적으
61)A.Cody,A history ofOld TestamentPresthood (Rome:E.Pontoficio Instituto
Biblico,1969),136.
62)왕대일,“레위기의 구조,레위기의 신학,”「신학과 세계」29호 (1994년 가을),16.
-42-
로 일부 쓰여졌다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즉 '오직 레위인만이 사제직을
담당할 권리가 있다'는 신명기의 주장을 '사독계 제사장은 레위 자손이며
사독계만이 충성된 길을 걸어 왔다.따라서 사독 자손만이 제사장직을 수
행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에스겔서는 반격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뜨겁게 표면화된 레위계(아비아달계)제사장과 사독계 제사장
의 세력 싸움은 곧이어 맞게된 바벨론의 유다 멸망에 의해서 일단 휴지 상
태를 맞는다.또한 바벨론 통치하에서 겪게 되는 정치적,종교적 변화는 이
들의 세력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3.사독계열 제사장들의 성전구조
이스라엘 역사학자들은 통상 주전 587년부터 538년까지에 이르는 반세
기를 포로기라고 부르는데,이것은 유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추방(주전
587년)당했다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귀환(주전 538년)하게 되는 때까지를
근거한다.추방은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에 의해서,귀환은 페르시아의 고레
스에 의해서 각각 이루어졌다.그렇지만 주전 587년 예루살렘 성전의 멸망
은 다른 각도에서 보면 유다 백성들에게 본격적인 식민지 시대를 살게 하
는 서막이었다고 볼 수 있다.그리고 그 식민지 살이는 페르시아 고레스
왕의 칙령으로 바벨론에 거주해 살던 일단의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을 귀환
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었다.예루살렘으로 돌아왔지만,그 땅은 유대인의
땅이 아닌,여전히 페르시아의 영지였기 때문이었다.
정신사적 측면에서 이 시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기들의 정체성에
대해서 반성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물론 폐허로 남은 예루살렘 성전의 흔
적 위에서 팔레스틴 땅의 난민들이 듣는 소리는 실의와 좌절뿐이었다(애
1:1;5:14-15).정든 땅에서 추방당하거나 피난살이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유다 난민들도 깊은 좌절과 절망에 빠져있었다(시 137편).시온의 상실이
-43-
유대 백성들에게 헤아릴 수 없는 충격을 안겨 주었던 것이다.하지만 이들
의 좌절을 긍정적으로 읽을 때,그 속에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누구이신
가에 대한 심각한 반성이 행해지고 있었다.두 가지 질문이 그런 반성의
분위기를 야기한다.첫째,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바벨론의 신 "마르
둑"(Marduk)에게 지고 마신 것인가? 그래서 예루살렘이 무너지고야 말았
는가?둘째,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당신의 백성을 스스로 버리셨는
가? 그래서 이스라엘이 예루살렘 땅에서 추방당하게 되었는가? 포로기에
활약했던 에스겔이 정리해 놓은 이런 질문에 대한 응답들이 바로 에스겔서
에 편집되어 있다.63)
에스겔서가 전하는 "하나님 이야기 "속에 잃어버린 땅의 회복과 민족
의 부활이 중심 소재를 읽을 수 있다.이 시기의 디아스포라들은 성전 없
이 하나님을 섬기는 제도를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게 된다.안식일 준수,할
례,정결예식 등의 본격적인 시행이 그런 노력의 산물들이다.회당의 성립
과 발전도 성전(희생제사)없는 경건의 일종으로 태동한다.64)
에스겔은 주전 597년,예루살렘 주민의 제 1차 추방 때,바벨론으로 사
로 잡혀간 무리 중에 끼였던 인물이었다.65)예루살렘 최후의 날이 실현되
기 이전,즉 주전 587년 이전까지 그의 몸과 마음에서 터져 나온 예언은
유다의 멸망을 선고하는 일에 몰두되어 있었다(겔 1-32장).그러나 일단
나라가 없어지고 성전이 무너지고 나자,에스겔은 철저히 쓰러진 민족의
재생을 선포하는 희망의 사신되기에 여념이 없었다(33-48장).에스겔의 시
대가 예레미야와 약간 겹치기는 하나 그는 대체로 제 2이사야와 함께 포로
기의 위대한 예언자로 여겨진다.
에스겔의 예언 중에 독특한 것은 역사에서 경험할 사건을 상징적인 언
어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그는 예루살렘의 멸망을 하나님이 그 성전
63)왕대일,「구약성서이해」(서울:성서연구사,1993),170-171.
64)Ibid.,171.
65)장일선,「이스라엘 포로기 신학」(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8),120-138.
-44-
을 버리시고 떠나셨기 때문으로 본다.마찬가지로 에스겔의 환상 중에 그
리고 있는 예루살렘 도성의 회복도 성전으로 귀환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시작한다.전자가 하나님의 피난을 상징하고 있다면,후자는 하나님의 귀향
을 상징하고 있다.66)
내가 보니,그룹들의 머리 위에 있는 창공 모양의 덮개 위에 청옥과 같은 것이 있
는데,그 모양은 보좌의 형상과 비슷하였다…그 때에 주의 영광이 그룹들에게서 떠
올라 성전 문지방으로 옮겨갔고,성전에는 구름이 가득차고,안뜰은 주의 영광에서
나오는 광채로 가득찼다…주의 영광이 성전 문지방을 떠나,그룹들 위로 가서 머물
렀다.그룹들이 내가 보는 데서 날개를 펴고 땅에서 떠올라 가는데,그들이 떠날 때
에,바퀴들도 그들과 함께 떠났다.그룹들은 주의 성전으로 들어가는 동문에 머무르
고,이스라엘 하나님의 영광이 그들 위에 머물렀다.그들은 내가 그발 강가에서 환상
을 보았을 때에 본 것으로,이스라엘 하나님을 떠받들고 있던 생물들이다.나는 그들
이 그룹 임을 알 수 있었다…그들은 각각 곧게 나아갔다(겔 10:1,4,18-20,22)
뒤에 그가 나를 데리고 동쪽으로 난 문으로 갔다.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 하나님
의 영광이 동쪽에서부터 오는데,그의 음성은 많은 물이 흐르는 소리와도 같고,땅은
그의 영광의 광채로 환해졌다…그러자 주께서 영광에 싸여서,동쪽으로 난 문을 지
나 성전 안으로 들어가셨다.그 때에 주의 영이 나를 들어 올려,안뜰로 데리고 갔는
데,주의 영광이 성전을 가득 채웠다(겔 43:1,4-5)
에스겔의 하나님 이야기(하나님의 피난,하나님의 귀향)는 역사의 경험
을 신화적인 언어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이스라엘의 멸망이 야
웨의 피하심(8-11장)으로 인해 왔다면 이스라엘의 재건,구원은 야웨의 임
재,도래(43이하)로 시작될 것이다.그러므로 야웨의 임재,도래를 위하여
새로운 성전은 필수적이다.그러나 이전의 성전으로는 안된다.부정했던 성
전은 새롭게 재건되어야만 했다.67)이것이 포로기를 겪으면서 남의 땅에서
유대인으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써야 했던 이스라엘 민족을 위한 에스
66)왕대일,「구약성서이해」,171-172.
67)Ibid.
-45-
겔의 처방이었다.이로써 에스겔은 하나님의 계심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왜 하나님이 역사 속에서 활동하지 않으셨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고 있
는 것이다.그리고 그 해답은 공동체적이다.하나님의 귀향의 가능성이 개
인의 책임이라는 점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하나 이 때의 개인은 신정정체를
꿈꾸는 공동체를 형성한다.예언자 에스겔이 새로운 교훈을 가르치는 목적
은 포로민들을 한사람,한 사람씩 새로운 공동체의 신뢰할 만한 구성원들
로 변화시키고 훈련시킴으로써 이스라엘의 집단적인 정체성과 책임을 재건
하자는 것이다.68) 성전 환상이 밝히고 있는 재건 프로그램(겔 40-48장)이
이스라엘 민족 전체가 참가하는 제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이상,예언자
자신의 이스라엘 민족에게 말씀을 전해주어야 하는 예언자의 모습에서 이
스라엘 민족 그 자신의 모습으로 변해가는 본문의 증언(40-48)에 귀를 기
울이는 이상 그 문제의 해답은 개개인이 변화되어 이룬 공동체로 확장시켜
서 찾아야만 한다.신명기가 출애굽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 대
한 청사진이라면 에스겔의 성전 본문은 포로후기 황폐해진 자신들의 땅으
로 돌아온 이스라엘 민족을 위한 성전을 포기하기 보다는 새롭게 재해석한
사독계 제사장 자손들의 청사진이다.69)
68)노만 K.갓윌드,「히브리성서 2-사회․ 문화적 연구」,김 상기 역 (서울:한국신학
연구소,1994),163.
69)왕대일,「구약성서이해」,172-173.
-46-
Ⅳ.예언자 에스겔의 성전신학
1.에스겔 성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에스겔 성전의 정체성을 확인하여 그것의 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
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이것을 보다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에스겔 성
전이 제 1성전 즉 솔로몬 성전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1)솔로몬 성전
a.성전의 구조와 구성요소
솔로몬 성전의 구조를 말해주는 성경본문은 열왕기상 5-8장과 역대기
하 2-7장이다.솔로몬 성전의 근본적인 건축 목적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
성들 사이의 언약의 상징인 법궤의 거처를 마련하려는 것이었다.그래서
솔로몬은 성전을 봉헌하는 기도에서 성전을 지은 것은 '여호와의 언약 넣
은 궤를 위하여 한 처소를 설치(왕상 8:21)'한 것이라고 하였다.건축할 전
의 전체길이는 60규빗,너비가 20규빗,높이가 30규빗이었다(왕상6:2).여기
서 규빗(암마, 70( ה )은 미터법으로 환산할 때 약 50센티미터로 보는 것이
적당하다.성전은 크게 낭실(울람, וּא ם )과 성소(헤칼, י ל )지성소(드빌,
רי )로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낭실의 크기는 길이 20규빗,너비 104규
빗(왕상6:3)이고,성소는 길이가 40규빗이며 너비가 20규빗인 직사각형 구
조이며,지성소는 길이,너비,높이가 각각 20규빗인 정사각형의 구조를 가
지고 있다.특히 이곳은 백향목 널판으로 마루에서 천정까지 막아 성소와
70)국영성경에서 규빗으로 번역된 길이 단위인 히브리어 '암마'는 약 45-52센티미터 정
도로서,성인 팔꿈치에서 중지 끝까지의 길이다.규빗(cubit)은 라틴어로 cubitum,즉 '팔꿈
치'라는 말에서 나온 옛 영어이다.김중은,「거룩한 길 다니리」(서울:한국성서학연구소,
2001),159.
-47-
분리되어 있다(왕상6:16).
성전 뜰에 있는 기구로는 첫째,성전의 남동쪽에 위치한 놋으로 부어만
든 반구형의 '바다( ם ,왕상 7:23)'라고 불리우는 제사장들의 정결을 위한
용기가 있었다.이것의 크기는 지름이 10규빗,둘레가 30규빗,높이가 5규
빗이었다.이 바다를 열두 소가 받쳤는데 사방으로 세 마리씩 서 있었다
(왕상 7:25).열두 마리의 소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를 대표한다.학자들은
이 바다가 여호와께서 창조의 권능을 행사하시던 원시바다 혹은 대양을 상
징한다고 해석한다.둘째,성전 앞뜰의 북편에 다섯 개,남편에 다섯 개씩
서 있는 희생제물을 씻을 수 있는 열 개의 물두멍( ריּוֹ )이다.이것들은 모
두 번제물로 쓰이는 희생 제물들을 씻기 위한 것이었다.셋째,놋단( ת
ח )이 있는데 길이와 너비가 각각 20규빗이고 높이가 10규빗이다(대하
4:1).넷째,솔로몬 성전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성전 앞의 두 기둥 야긴( וי
)과 보아스( ז )가 있다(왕상 7:21).이 기둥들의 높이에 대하여 열왕기는
18규빗(왕상 7:15)으로 역대기는 35규빗으로(대하 3:15)기록하고 있다.이
러한 차이는 열왕기의 기록은 기둥만의 높이를,역대기는 기둥머리를 포함
한 전체를 기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성소내부를 살펴보면 이곳에는 금단과 진설병의 금상과 내소 앞에 좌
우로 다섯 씩 두 쌍의 정금 등대(왕상 7:48-49)가 있었다.지성소 내부에는
하나님 임재의 상징인 '야웨의 언약궤'( ןוֹ ֹתי- ה ה )가 있었다.언약궤
는 그룹들 아래 지성소의 안쪽에 놓여져 있었으며 그룹들은 감람나무로 만
들어 금으로 입혀졌고(왕상 6:23ff),그 높이는 10규빗이고,날개들은 10규
빗 길이로 펼쳐졌는데 지성소 길이의 반이다.이상과 같이 살펴본 결과 솔
로몬 성전에 대한 기록은 주로 성전 내부를 중심으로 묘하사고 있음을 알
수 있다.각종 기물들을 금으로 만들었다는 화려함이 특징으로 부각된다.
b.솔로몬 성전의 설계
-48-
성경의 기록들은 솔로몬 성전이 베니게 출신의 건축가와 장인ㄴ들에
의해 건축되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왕상 7:14).그러므로 솔로몬 성전의
구조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니게와 보다 넓은 의미에서 수리아
지역의 성전모형을 알아보아야 한다.기본 설계에서는 일렬로 배열되어 있
는 낭실,성소 및 안방 또는 뒷방이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이다.이와 같이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더욱 신비하게 되어 있는 단순하면서도 매력적인 배
열의 예는,세부적인 면에서는 많은 수정과 장식의 변화가 있기는 하였지
만 고대 이집트로부터 그리스,로마 그리고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바실
리카 양식의 교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교 건축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고학적 조사의 많은 부분은 긴 방 또는 긴 집과 관련되어 있다.71)이 구조
의 중간부분을 가장 크게 하여 옆으로 3등분하면 솔로몬 성전의 구조와 유
사한 설계도가 나온다.따라서 솔로몬 성전은 긴 집에 해당하여 낭실은 넓
은 방,성소는 긴 방,그리고 지성소는 정방형의 방에 해당한다.
솔로몬 시대 직후인 9세기(또는 8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
은 신전 또는 부속예배당이 1936년에 알렙포와 안디옥 사이의 북시리아에
위치해 있는 텔 타이네트(TellTainet)에서 발견되었다.이 신전의 규모는
솔로몬 성전보다 훨씬 작지만 세부적인 설계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도 솔로몬 성전과 아주 유사하다.72) 다만 텔 타이네트의 지성소는
예루살렘 성전과는 달리 정방형이 아니었다.솔로몬 성전과 마찬가지로 텔
타이네트의 부속예배당도 성전과 궁정이 인접해 있는 종합 건물군의 일부
였다.이렇게 볼 때 솔로몬 성전의 기본 설계는 먼 북방에서 유래한 것이
었으나 그것이 주전 2천 년대에 여러 민족의 태동과 혼합이 이루어짐에 따
라 히타이트,앗시리아,시리아,이집트 및 페니키아의 건축양식 요소들을
71)"성전,예루살렘,"「기독교대백과사전」9권,(1983).
72) Encyclopaedia Judiaca(UR-Z), s.v. "Temple," Jerusalem, 1972, 948. Alfred J.
Hoerth,Archaeology & The Old Testament(Grand Rapids,Mich:BakerBooks,1998),
281.
-49-
흡수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73)솔로몬 성전의 모형을 다양한 각도에
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74)
2)에스겔 성전
이 성전의 구조는 건물의 높이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으며 주로 대칭
적으로 나뉘어진 성전건물에 대한 측량지수에만 관심을 쏟고 있다는 인상
을 불러일으킨다.전체적으로 기하학적인 성전의 구조로서 묘사되는데 이
것이 에스겔 성전 묘사의 특징이다.상상을 요하고 감탄을 자아내는 하나
하나의 개별적인 묘사들과는 달리 하나님의 영광이 성전에 거한다는 것을
표현하는 한 가지 점에 모든 노력이 집중되어 있다.75)
우선 이 성전의 위치는 이스라엘 땅 매우 높은 산 위이며 방향은 산의
남쪽이다(겔 40:2).성전구역은 담으로 둘러싸여 있는데(40:5),이는 거룩한
것과 속된 것을 구불하기 위한 것이다(42:20).담의 높이는 6규빗이며 전체
크기는 500×500규빗이다(42:15-20).바깥담으로 된 구역 안에 3개의 문이
있다.에스겔이 처음 찾아간 곳은 동문이고 뒤이어 방문한 곳은 북문과 남
문인데 크기는 세 개가 동일하다.이 문들은 모두 성전 밖에서 바깥뜰로
들어가는 문들이다.이어서 에스겔은 안뜰로 들어가는 남문,동문,북문으
로 인도함을 받았다.이들 여섯 개의 문들은 군사적인 기능이라기보다는
부정한 자를 거룩한 곳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데 있었다.76) 모든 문은
점차 높은 지점으로 이끄는 구조로 되어 있다.바깥문은 일곱 개의 계단을
통해 올라가야했고(40:6,22),안뜰로 들어가는 문은 여덟 개의 계단을 통해
야 했다(40:34,37).성전으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또 다시 계단을 올라가야
했다(40:49).특징적인 것은 성전삼면의 지대가 6척 높이의 위치에 있었다
73)"성전,예루살렘,"「기독교대백과사전」9권,(1983).
74)EncyclopaediaJudiaca(UR-Z),s.v."Temple,"Jerusalem,1972,944.
75)WalterEichrodt,Ezekiel,「에제키엘」,642.
76)김성익,"제 3성전의 구조와 신학에 관한 연구,"「신학리뷰」4(1996):57.
-50-
는 점이다(겔41:8).이와 같이 성전건물은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상향식 구
조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에스겔이 인도되는 곳은 주로 문이 많이 언급되는데 문 하나의 전체규
모는 50×25규빗(41:8)이다.문 중앙을 통과하는 통로 양편에는 각기 3개씩
의 문지기 방이 있다.문 자체가 하나의 건물을 이루고 있는데 그 크기가
성전내부 크기(20×40)보다 크며,길이는 안뜰의 크기(100규빗)의 반이나 된
다.또한 각 문마다 문지기의 방이 있다.그것들의 기능은 속된 것으로부터
성전의 거룩함을 지키는 것이다.성전의 동,남,북쪽과는 달리 성전 서편
에 문이 없다는 것은 사람들이 여호와의 전을 등지고 낯을 동으로 향하여
동방태양을 경배하는 것(8:16-17)과 같은 죄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
다.77)
다음은 성전의 바깥뜰에 대한 묘사이다.바깥뜰 삼면에 박석으로 깔린
땅이 있었다(40:17).그곳에는 30개의 방이 있는데 예배자들의 모임이나 식
사하는 장소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바깥뜰의 네 구석에는 부엌설비
(40×30)가 있었다(46:21-24).안쪽 북,남문 옆에 번제물을 씻는 방과 희생
물을 잡는 방과 상이 있다(40:30-43).안쪽 북,남문 가까운 곳에 제사장들
을 위한 방 두 개가 있다(40:44-46).남향한 방은 성전을 수직하는 제사장
이 쓰고,북향한 방은 제단을 수직하는 사독자손으로 구성된 제사장을 위
한 것이다.안뜰은 크기가 100×100규빗으로 그 한 가운데에 제단이 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뜰에 있어야 하는 대야 즉 물두멍이 없다는 것이다.
성소건물은 현과과 성소,지성소로 나뉘어진다.성소의 내부규모는
40×20규빗이며 지성소는 20×20규빗이다(41:2-4).전 삼면을 의지한 골방
이 성소의 벽사방으로써 3층으로 30개가 있다.전 전체의 크기는 100×100
규빗(41:13-15)이다.전 뒤편 서쪽 뜰에 있는 한 건물이 있는데 70×90규빗
의 크기이다(겔 41:12).이 건물 양쪽 편에 두 개의 건물이 더 있는 것으로
77)Ibid.,58.
-51-
보인다(42:1-12).그리고 나무제단이 나오는데 '여호와 앞의 상'이라고만
언급되어 있다(41:22).
3)공통점과 차이점
지금까지 우리는 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 각각의 구조에 대하여 살
펴보았다.각기 구조가 이와 같다면 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의 주요 차
이점과 공통점은 무엇이 있을까?에스겔 성전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이해하
기 위해서는 그 두 성전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
보고 그것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를 모색해야 한다고 본다.
a.차이점
에스겔 성전은 모세의 성막과 솔로몬 성전과는 다른 중요한 차이점들
이 있다.우선 에스겔 성전에서는 휘장(출 26:33)78)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따라서 대제사장과 마찬가지로 다른 제사장들도 지성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79) 또한 에스겔 성전에서는 제단에 대한 설명(43:13-17)이 성전의
다른 어떤 것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은 매우 크게
묘사된다.번제물을 드리기 위한 제단은 안뜰에 위치해 있었는데 그것은
성막이나 성전의 기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물이었다.그것이 없이는 성
전 자체가 존재할 수 없다.왜냐하면 이것은 하나님과 인간이 속죄가 이루
어지는 제단에서 만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솔로몬 성
전 앞에는 번제단이 있었다는 것이 당연시 됨에도 불구하고 열왕기서에는
그에 대한 언급이 없다.이에 대한 언급은 역대기하(4:1)와 에스겔서에만
나온다. 에스겔 성전에서는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40:47;
43:13-17).
차이점들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 네 가지로 설명할
78)김금희,"구약의 속죄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신학석사학위 논문,장로회신학대학교,
2002),32.
79)GeorgeC.M.Douglas,"EzekielTemple,"TheExpositoryTimes(1987/8):366.
-52-
수 있다.첫째,대제사장이 나타나지 않는다.지성소가 제사장 모두에게 개
방됨으로써 대제사장에게만 부여되었던 특별한 의무와 특권이 모든 제사장
에게도 동등하게 주어졌다.80) 또한 화려한 제사장 의복과 우림과 둠밈에
대한 언급도 없다.대제사장이 없다는 것은 장차 이스라엘이 이전보다 더
욱 더 완벽한 방법에서 야웨의 거룩한 백성으로서 소명을 받는다는 것을
말해준다.81)
둘째,시은좌( ת ,mercy-seat)82)가 있는 언약궤가 보이지 않는다.이
것은 잃어버린 언약궤 대신 모든 나라들이 모여드는 곳 즉 여호와의 보좌
라고 불리 우는 예루살렘이 바로 언약궤를 대신한다는 것을 말한다.83)에
스겔은 예루살렘이 버려져 있는 동안 포로된 백성들이 있는 그 곳에서 여
호와께서 잠시 성소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11:16-20).따라서 성막이나 솔
로몬 성전에서처럼 언약궤 안에 있는 돌 판도 더 이상 필요 없다.또한 여
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던 것처럼 시은좌로부터의 여호와의 말씀도 필
요가 없다.왜냐하면 여호와께서 그들과 같이 계시기 때문이다.
셋째,대제사장의 특별의무와 특권이 없어졌고 공식적으로 대제사장만
이 일년에 한 번만 들어갈 수 있는 지성소에서 시은좌가 없으므로 이제는
더 이상 속죄일이 존재하지 않는다.속죄일은 완성되었으며 지성소는 개방
되었다.이처럼 에스겔의 환상은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의 전진을 보여준
다.84) 속죄일의 완성은 다른 예언자들에 의해서도 강조되는데 예를 들면
스가랴 3장 9절이 그러하다.
넷째,대제사장과 속죄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희년의 의미
가 새로워진다.이 영광스럽고 독특한 모든 것들의 해방을 알리는 신호는
80)Ibid.,420.
81)C.F.KeilandF.Delitzsch,「에스겔」,송종섭 역 (서울:아가페출판사,1995),753.
82)김중은,「거룩한 길 다니리」,160.
83)GeorgeC.M.Douglas,"EzekielTemple,"420.
84)Ibid.,421.
-53-
속죄일에(레25:9)나팔을 크게 부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그러나 에스겔이
지성소로의 길이 열려 있음을 보고 있는 현재,이것은 백성들의 마음이 새
로워지고 초자연적인 생명이 선물로 주어지고,완전히 그들 사이가 재연합
되는 것을 볼 때 그 것은 이사야 61장 1-2절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상태
를 의미한다.85)
성소가 지성소와 같은 동등성과 정체성을 갖는 것과 아울러 에스겔 성
전과 그것의 봉사 직무에 있어서 몇 가지 다른 독특한 점들이 있다.첫째,
번제단 옆에 있었던 그리고 모세 성막의 입구에 놓여 있었던 물두멍이 없
다는 점이다.이것은 제사장들이 성막에 들어가 제단에 가까이 갈 때에 죽
지 않도록 그들의 손과 발을 깨끗이 씻기 위한 기물이다.솔로몬 성전에서
는 이 물두멍이 열 개의 물두멍과 놋바다라는 좀 더 정교한 상징적인 것으
로 바뀌었다.빠진 것 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거대한 바이다.그래서
에스겔 성전에서 이것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눈에 띈다.그러나 완전한
속죄와 정화가 이루어져 있는 상태인데 왜 이것이 더 이상 있어야 하는가?
새 성전에서 흘러나오는 생명수가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물두멍은 계속 유
지될 필요가 없다.86)둘째,관유( ן ה )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출 40:9-11;레 8:10-11).이 관유는 원래 아론과 그의 아들들과 희생물에
기름을 바르는 일에 사용되던 것이다.그런데 에스겔 성전에는 기름부음을
받는 제사장들이나 제단에 대한 언급이 없다.87)셋째,모세 성막에는 7개,
솔로몬 성전에서는 10개였던 정금등대( תוֹרוֹנ )에 대하여 에스겔 성전에서
는 언급이 없다.왜 에스겔 성전에서는 촛대에 대한 언급이 없을까?그 이
유는 지성소를 가득 채우고 그곳의 모든 것을 거룩하게 만드는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으로 오셨다는 것이다.넷째,특이한 점은 향단과 진설병상이
에스겔 성전에서는 하나로 결합되어 나타난다는 사실이다(41:22).모세의
85)Ibid.
86)Ibid.,469.
87)Ibid.
-54-
성막이나 솔로몬 성전에서는 성소에 세 가지의 기물들이 있었다.그것들은
눈에 띄기 때문에 그것들을 누락시킬 수 없는데 바로 등대,진설병상,향단
이다.그런데 진설병상에 대한 설명과 그 부재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다.
다만 에스겔의 '여호와 앞의 상'이 진설명상과 향단의 두 가지 역할을 하
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이 남는다.에스겔이 비록 여기에 대하여 언급이 없
으나 그는 그것을 알고 있음에 틀림없다.그러나 이것들에 그다지 중요성
을 두지 않았다.왜냐하면 성전에 여호와의 영광이 가득찼기 때문에 향과
향료 등이 더 이상 필요 없었을 것이다.88) 이처럼 에스겔의 환상은 모든
가시적인 한계를 뛰어넘어 보이지 않는 기물들에 대하여 새로운 상징적 의
미가 부여된다.
그밖에 차이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솔로몬 성전에는 야긴과 보아스라
는 기둥 명이 나타나지만 에스겔 성전에는 기둥에 대한 명칭이 없다.솔로
몬 성전은 직사각형 구조를 갖고 있으나 에스겔 성전은 정사각형으로서 뚜
렷한 대칭 구조를 보이고 있다.이것은 성전구조의 중앙 집중적인 의미와
좌로나 우로나 치우침이 없는 성전의 공평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솔로몬 성전에 대한 묘사는 정적이다.그러나 에스겔 성전을 묘사하는 과
정에서는 동적인 측면이 부각되며 각 건물의 위치와 방향을 특히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다.동시에 건물들에 대한 측량지수에 대해서는 마치 실제건
물을 보는 것처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따라서 에스겔 성전에서 중요
한 것은 방향성과 경계표시와 측량이다.또한 성전 건물 중 특이한 것은
성전 서편 뒤에 건물이 서 있다는 것이다(41:12).그러나 그 건물이 무엇에
쓰이는 것인지 그 용도에 대한 설명은 없다.
에스겔 성전이 이전의 솔로몬 성전과 확연히 다른 점은 우선 궁궐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성과 속이 구별된다는 점이다.그리고 외형의 규모
도 더 크고 지대도 더 높다.윈워드(Winward)는 새 성전이 옛 성전에 비
88)Ibid.
-55-
해 궁궐과 떨어져 있고 지대가 높고 짜임새가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하나
님의 거룩성,숭고성,완전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본다.89)에스겔 성전은 문
과 담이 나옴으로써 성전의 안과 밖의 구역을 명확히 구별하고 있지만 솔
로몬 성전은 외곽경계에 대한 언급이 없다.이것은 에스겔 성전의 거룩성
과 분리성을 강조하는 것이다.또한 솔로몬 성전 내부의 많은 부분이 금으
로 화려하게 장식되나 에스겔 성전에 대한 묘사에서는 '금'이라는 낱말이
나오지 않는다.이것은 성전이 회막처럼 검소한 모습임을 알 수 있다.솔로
몬 성전은 화려하기가 극치를 이루는데,그 동안 광야시대부터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지내왔던 회막(성막)과는 완연한 대조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b.공통점
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과의 전형적인 공통점은 성전의 위치가 동
일하다는 것이다.두 성전 모두 기둥을 갖고 있는 점이 유사하다.에스겔
성전이 동향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솔로몬 성전도 해뜨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에스겔 성전의 성소와 지성소의 높이가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크기는 열왕기서와 정확히 일치한다.에스겔 성전과 솔로몬 성전에는 곁방
이 모두 같이 묘사된다.성전내부와 장식 및 비품들은 열왕기에 나오는 목
록들과 같다(40-41장).성전의 낭실,성소,지성소 등의 기본구조는 같다.
이외에 벽들을 치장한 장식소재들은 솔로몬 성전에서와 같다(왕6:29-30).
나무로 되어있건 혹은 놋으로 되어 있건 제단 또는 상이 있다는 점이 동일
하다.그리고 솔로몬 왕조 이후 예루살렘 성전에서 제사장직을 수행해왔던
사도계급이 에스겔 성전에서도 계속 그 직위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성막에 임재하셨던 야웨의 영광(출40:34-35)이 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에서도 임재하셨던 점이 일치한다.이것은 성소의 중심에는 야웨의 영
89)장일선,「이스라엘 포로기 신학」(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8),156-157에서 재인
용.
-56-
광이 임재하셔야만 그 성소의 정체성이 분명해진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공통점은 무엇을 시사하는가?이것은 에스겔 성전이 전혀 새로
운 형태로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이 과거에 갖고 있었
던 사건들과 연속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더구나 성전의 추이는
아브라함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대하3:1).이것은 출애굽 당시 광야시
대의 성막 전승과 가나안 정착 후 실로 전승과 다윗과 솔로몬이 세운 제 1
성전 전승과 연속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또한 성전의 핵심부분이
라 할 수 있는 지성소,성소,낭실 구조는 두 성전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본질적인 성전의 정체성의 연속성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리고 성
막,제1성전,에스겔 성전은 '야웨 하나님의 거룩한 영광'이라는 신학에 있
어서 공감대를 형성한다.
2.불연속적 측면에 대한 신학적 의미 분석
에스겔 환상 성전은 인간의 손길이 관여한 바가 없는 야웨 하나님의
놀라운 창조물이었다.따라서 그것은 새로운 시대의 출현을 상징하는 것이
었다.한편 과거 솔로몬 성전의 구조들은 이 새로운 시대에 적용될 수 없
었다.90) 에스겔 성전은 암묵적으로 솔로몬 성전을 비판하는 측면이 있다.
그 성전은 약자를 가까이 하시는 하나님의 모습과 어긋난다.하나님의 회
막은 얼마나 검소한가!본래 이동식 성막이던 것이 정착식 성전으로 변하
면서 성소 본래의 모습이 변질된다.왜 성전의 부속건물에 대하여 길게 서
술하는 것일까?솔로몬 성전 당시 거룩해야 할 성전과 그 부속 건물이 세
속에 물듦으로 인해 그 거룩성이 훼손되었다.그 성전은 바깥뜰이 직접 그
지역의 속된 땅과 직접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따라서 백성의 죄로 인해
생긴 그 땅의 오염이 직접 뜰의 거룩한 곳에 침투할 수 있었다.그러나 새
90)WalterEichrodt,Ezekiel,658.
-57-
성전은 바깥문과 안뜰 문이라는 이중 통과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거룩한 것
과 속된 것을 막을 조치가 마련되었다.본문에서 보는 것처럼 성전 건물,
그 부속 건물들,문과 뜰에 대한 매우 상세한 설명은 새 성전이 모든 면에
서 여호와의 거룩함에 부합되고 또한 마음과 몸에 할례 받지 아니한 자는
누구도 그 안에 들어갈 수 없도록 배열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러므로
에스겔 성전과 솔로몬 성전과의 불연속적 측면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는 세
속과의 분리를 통한 거룩성의 확보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3.제 2성전과의 관계
에스겔 성전과 제 2성전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에스겔 예언활동이
끝난지 약 50년 후에 바벨론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들은 제 2성전을 건축한
다.이들은 에스겔의 예언을 들었을까?그렇다면 학개가 에스겔의 프로그
램을 취하고 선포함으로써 당대의 사건들과 사람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 보아야 한다.91)그것은 스가랴에 의해 선포되어지고 있는 예언자 에스
겔의 본래적인 계획이다.헨슨(P.Hanson)은 학개와 스가랴를 에스겔 전승
의 담지자로 본다.그가 보기에 회복된 공동체의 구조는 에스겔에 의하여
상세하게 그려진 것들이다.92) 에스겔의 프로그램에 대한 학개와 스가랴의
예언활동의 의존성은 새 성전에 대한 건축계획에서도 자명하다.93)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는 에스겔의 계획을 스룹바벨 성전에 관한
연구와 비교하면서 이렇게 설명했다."에스겔의 성전계획과 포로기 이후
성전 재건계획의 일치는 너무 포괄적이다.즉 새 성전은 에스겔 43장 11절
에 나타난 계획에 근거하여 세워진 것이다."94)왕대일도 학개,스가랴를 에
91)PaulHanson,「묵시문학의 기원」,이무용,김지은 역 (서울: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6),228-229.
92)Ibid.,229.
93)김지은,"학개의 성전 재건선포에 대한 역사적 연구,"「구약논단」(2000):85.
-58-
스겔 전승의 담지자로 본다.95) 학개의 신탁은 스가랴와 함께 성전제사의
회복을 주된 관심사로 삼고 있다.이 점에서 학개와 스가랴는 에스겔의 정
신을 계승하고 있다.96)에스겔은 이 환상의 말씀을 포로기 공동체에게 주
었다(겔 43:10-12).에스겔은 포로기 이전의 성전예배와 연속성을 가지며
특별한 제도적 상술과 구체적인 역사적 수행자들을 염두에 두고 미래를 바
라보는 회복 프로그램의 윤곽을 그려주는 환상을 보았다.97)본 논문에서는
스룹바벨 성전에서 에스겔의 프로그램이 일부 성취되었다고 본다.성전의
전체적인 규모는 일치하지 않지만 그 정신은 이어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에스겔 성전은 포로기를 정점으로 포로기 이전 성전 신학과 포로기 이후
성전 신학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담당한다.또한 과거의 성전과 결별하
는 불연속적인 의미도 담고 있다.이것은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따라서 선
지자 학개,스가랴를 통해 에스겔의 종말론적 메시지가 이어진 것이다.98)
성전의 재건축 준비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성전 환상이 큰 의
미를 갖고 있었다는 데서 그것을 알 수 있다.99)학개,스가랴 선지자가 성
전에 대한 전승적 근거 없이 성전 재건의 말씀을 선포하기는 어렵다.바로
여기에서 에스겔 성전 환상이 큰 역할을 하였다.제 2성전기는 포로후기
시대 유대 사회의 암울함과 초조함을 그 배경으로 한다.이 시기는 무너진
솔로몬 성전터 위에 성전을 재검함으로써 흐트러진 유대사회의 분위기를
변혁시켜 나가려던 학개와 스가랴의 회복 프로그램과 함께 시작되었던 성
전 재건 계획(40-48장)을 역사 속에 구체화시킨 노력이었다.그렇기에 학
개와 스가랴의 메시지는 사독계열 제사장이 주도하는 성직계급사회를 표방
94) PaulHanson,「묵시문학의 기원」,258.
95)왕대일,"예루살렘성전-그 신학적 고찰,"(서울:감신대 제 9회 성서학연구소 심포지
움/제3회 고고학회 연례학술대회):4.
96)왕대일,「구약성서이해」(서울:성서연구사,1993),177-178.
97)PaulHanson,「묵시문학의 기원」,236.
98)장일선,「이스라엘 포로기 신학」,283.
99)WalterEichrodt,Ezekiel,643.
-59-
하였다.100)
에스겔 성전은 제 2성전 신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작음의 포로
공동체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공동체의 정체성이다.그들은 무엇으로 그
것을 입증할 것인가?다윗 왕조의 정통적 왕위 계승을 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가?여기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기의 정체성을 '성전'에서 발견하
였다.한 단계 더 거슬러 올라가 그들은 시내산 언약을 통해 야웨 하나님
과 함께 동행했었던 '성막'을 기억하였다.하나님의 성막이 그들 가운데 있
을 때 그 공동체는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히 가질 수 있었는데 그것은 '우
리는 야웨의 백성'이라는 것이다.이러한 전승 속에서 포로 공동체는 자신
들이 귀환할 경우 제일 먼저 할 일이 성전건축이라는 것을 확실히 깨닫게
되었다.101)그들은 포로로 있을 동안 자기들과 함께 있었던 에스겔의 성전
환상 예언을 기억하고 있었다.이와 같이 에스겔의 성전예언은 포로 공동
체의 정체성 문제를 성전 재건으로 해결하려는 선지자 학개,스가랴로 이
어지면서 제 2성전 건축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할 수 있다.
4.신약과의 관련성
주전 587년의 예루살렘 성전 파괴와 주후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는
신학적으로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제 2성전마저도 제 1성전 못지않게
타락했는가? 왜 예수는 성전이 허물어지리라는 예언을 하는가(눅
19:41-44)? 마치 에스겔이 예루살렘 성전이 허물어지리라는 예언을 하는
것처럼 말이다.에스겔과 예수는 500년의 시차를 두고 같은 예루살렘 성전
에 대하여 엄청난 예언을 선포한다.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자연히 두 사건
의 신학적 연관성에 관심을 가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성전의 부정적 기
100)왕대일,"예루살렘성전-그 신학적 고찰,"4.
101)김지은,"바벨론 유다 포로민들의 삶,"「구약논단」7집 (1999.10):122-123.
-60-
능에 대한 비판은 예수에게서 분명히 나타난다.예루살렘 성전체제는 소수
집권층인 제사장 계층이 주도하는 성전 중심의 경제 체제이기도 했다.성
전에서 드려지는 수많은 희생제물과 성전 주변에 형성된 은행,숙박,건물
건축자,제물 판매업자,환전상인 등 모두 그들의 경제권과 생산력을 성전
체제에 걸고 있었다.요아킴 예레미아스는 예수 당시 예루살렘 인구의 상
당수가 성전에 생계를 걸고 있었고 그곳에서 기득권을 누리고 있었다고 지
적하였다.102)로마제국 또한 성전을 책임지던 종교지도자들의 기득권을 비
호해주는 댓가로 팔레스틴의 노동력과 생산력을 착취하였다.복음서의 예
수가 직면했던 최대의 적은 바로 갈릴리의 바리새인과 예루살렘의 제사장
들이었다.마치 예레미야의 성전설교(렘 7:1-11)에서처럼,예수는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을 도둑들이 꿰차고 앉아서 온갖 악을 저지르는 온상으로 보았
다.이것을 에스겔의 성전과 비교해보면 성전의 타락상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예수는 만민이 기도하는 집(사 56:70)에서 온갖 악행이 저질러지는
것을 보고 도저히 참을 수 없었다.이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거룩과 영광
이 더렵혀지는 성전에서는 야웨 하나님께서 도저히 계실 수 없었기에 에스
겔은 성전 심판 환상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보여주었다.이것은 주후 70
년의 성전 파괴와 주전 587년의 성전 파괴는 서로 신학적인 상관성이 있음
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제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심으로써 성전의 지성소를 가리고 있
었던 휘장이 찢어짐을 인하여 모든 사람이 성전에 가까이 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히브리서 기자는 예수의 사건을 구약의 제사장적 법에 근거하여
새롭게 해석하였다.신약에서 에스겔서가 직접,간접적으로 인용된 경우는
총 65번인데 그 중에서 48번이 요한 계시록에서 인용되었다.103)이것은 요
한계시록이 에스겔의 직접적인 영향 하에 있음을 보여준다.에스겔의 성전
102)왕대일,"예루살렘성전-그 신학적 고찰,"7.
103)W.S.Lasor,D.A.Hubbard,andF.W.Bush,「구약개관」,박철현 역 (고양:크
리스챤다이제스트,2003),705-706.
-61-
구도는 요한 계시록의 새 예루살렘 구도(계 21:1-22:5)에 그 영향을 미치며
에스겔 성전에서 생수가 흘러나와 새 생명을 살리는 것과 같이(겔
47:3-12)요한 계시록의 새 예루살렘에서도 생명의 강이 흐르게 됨을 보여
준다.또한 하나님께서 에스겔을 높은 산 위에 데려가 성읍 형상을 보여준
것(겔 40:20)처럼 요한 계시록에서도 성령이 요한을 크고 높은 산으로 데
리고 올라가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여준다(계 21:10). 이 때 요한은 성
안에서 성전을 보려하였으나 그것을 보지 못하고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와 어린양이 그 성전이심(계 21:22)을 목격한다.이것은 눈에 보이는 성
전이 사라짐을 보여준다.이처럼 사도 요한은 요한 계시록에서 새 예루살
렘 성전을 보여줌으로써 에스겔이 마치 성전 환상을 보여주었던 것처럼 종
말론적인 성전 환상을 매 시대의 신앙 공동체에게 보여주고 있다.
5.에스겔의 성전 신학
1)거룩
에스겔 성전은 '거룩'의 신학을 담고 있다.토에바(겔 16:2;20:4)는 거
룩한 것을 침범하는 어떤 것을 가리킨다.그것은악을 행하는 자의 주위를
재난으로 가득 채울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하나님께 도전하는 것과 다름
없다.104)에스겔은 거룩하신 성전이 하나님의 백성들에 의해서 더러워지고
있음을 고발한다(겔 8-11장).인간의 악행은 성소를 더럽히는 범죄와 관련
될 경우 가장 큰 징벌을 받게 된다.왜냐하면 그것은 야웨 고유의 거룩하
고 신비한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기 때문이다.105) 에스겔서가 보여주는 것
은 제사장적 환상 즉 성전의 역할에 대한 해석이다.이는 성전자체가 희생
제물이 되어 창조물을 정화하고 더 나아가 재구성하게 하는 과정으로서의
104)KlausKoch,「예언자들」,강성열 역 (고양:크리스챤다이제스트,2001),164.
105)Ibid.,146.
-62-
창조와 관계되는 것이다.106) 성전 환상이 의미하는 것은 기존의 예루살렘
성전이 더렵혀졌다는 것이다.제사장의 관점에서 이러한 부정은 정화되어
야만 한다.그렇게 함으로써 그곳의 부정함을 제거하고 이전의 거룩함을
회복할 수 있다.성전제의는 창조물의 성결과 안정을 유지,회복하는데 필
수적이다.그러므로 제사장적인 정체성을 갖고 있는 에스겔에게 성전이 부
정한 장소가 되어버렸다면 성전과 예루살렘 자체가 상징적으로 제물이 되
어 정화와 회복을 가져와야 했던 것이다.107)벵겔(Bengel)은 '드러난 거룩'
으로서의 영광에 대해 말했는데,에스겔 40-48장에서 영광이 예루살렘 성
전으로 돌아오는 광경은 거룩이 베일을 벗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에스
겔은 영광이 거룩한 산으로 돌아올 때 종교적 공동체에게 필요한 제의적,
공동체 요구사항들을 말하고 있다(겔 43:1-12).108)
2)소망
에스겔 성전은 미래를 보게 한다.이 성전은 에스겔 예언 선포 당시
이루지지 않았으므로 그것을 듣는 청중에게는 미래의 사건이다.하나님은
성전환상을 통해서 죽음과도 같은 절망 속에서 빠져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
에게 살아갈 소망을 주신다.하나님은 현재의 포로기를 야웨 신앙으로 극
복할 것을 구체적인 성전 환상을 통해 선언하신다.이것은 야웨께서 포로
민들과 함께 계시겠다는 것을 말한다.마치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임재의 증거인 성막을 보여주었던 것과 같다.그러므로 에스겔 예언자의
성전신학을 소망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다.환상은 이스라엘에게 어떤 목
표를 제시한다.포로시대의 사람들에게 에스겔은 커다란 희망이 메시지를
전해주었다.에스겔 성전이 약속의 땅 팔레스틴에 다시 지어지기를 소망하
106)MarvinSweeney,“사독계열 제사장,포로기의 환상 예언자 에스겔,”왕대일역,「구
약성서,읽기와 해석하기」(서울:감신대성서학 연구소,2001),38.
107)Ibid.,47-48.
108)JohnG.Gammie,holinessonIsrael,54.
-63-
면서 하나님의 백성들은 현재의 포로기를 인내하며 기다린다.
3)회복
에스겔 성전은 성전 중심의 구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회막(성막)을 중
심으로 한 민수기 2장의 구도와 유사하다.한 방향에 세 지파씩 네 방향으
로 지파 진영들에 의해 둘러싸여 모든 진의 중앙에 있는 광야의 회막성소
(민 2:17)를 연상시킨다.자신의 정체성과 실질을 중앙에 있는 하나님의 임
재로부터 끌어오는 거룩한 준거점 둘레에 포진한 다양하면서도 하나님 백
성이라는 요지가 분명히 드러난다.109) 이것은 야웨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원래 바라셨던 그런 구도이다.이런 면에서 에스겔 환상 성전
은 야웨 중심적인 구조를 나타낸다.야웨 하나님은 열왕기상(9:6-9)에서 의
거 즉 신명기 신학에 따라 성전을 떠나시고 열왕기상(9:4-5)에 따라 성전
으로 되돌아오시겠다고 말씀하신다.에스겔의 성전 환상은 시온의 회복과
깨어진 야웨와의 계약을 다시 회복시키는데 그 초점이 있다."새 영을 너
희 속에 두고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신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향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지니라(겔 36:26-27)."회복을
의미하는 세 가지 환상 기사가 있다.첫째,37장의 마른뼈가 살아나는 환상
이다.둘째,성전에서 흘러나오는 생수 환상이다.셋째,예루살렘 성전을 떠
났던 야웨의 영광이 다시 돌아오시는 성전 환상이다.전체적으로 에스겔
40-48장은 33장부터 계속되어온 구원 메시지의 종결편이다.에스겔은 성전
환상을 통해 비록 이스라엘 백성이 심판을 받아 모든 것을 잃어버렸지만
야웨의 거룩한 영광이 그들 가운데 계시기만 하면 모든 것이 다시 회복된
다는 것을 공동체에게 선포한다.
109)JosephBlenkinsopp,「에스겔」,박문재 역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2004),324.
-64-
Ⅴ.결론
1.요약
에스겔 성전은 오늘 교회의 신앙 공동체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이 물
음에 답변하기 위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다양한 방향에서 토론을 전개해왔
다.광야시대의 성막으로부터 시작해서 실로 성소를 거쳐 예루살렘 성전에
이르기 까지 이스라엘 공동체는 삶의 중심에 항상 성소를 갖고 있었다.그
러나 이제 눈에 보이던 성전이 사리진 시점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무엇을
근거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증명할 것인가? 또한 어떻게 하나님의 이름이
계시겠다고 한 성전이 무너질 수 있는가 하는 심각한 신학적 반성을 하기
에 이르렀다.에스겔 환상예언을 통해 포로공동체는 약속의 땅에서 행했던
자신들의 과거를 회상하였다.전체적으로 그것은 야웨 하나님의 거룩을 더
럽힌 역사였다.
구약성경에 대하여 행해져 왔던 여러 역사비평적 방법은 예언서를 일
종의 역사적인 시대의 산물로 보려는 경향이 있었다.그들은 에스겔서 본
문 가운데 에스겔 예언자의 직접적인 증언은 일부에 불과하며 나머지 대부
분은 에스겔 학파라는 예언자 제자그룹이 편집한 작품으로 보았다.최근에
는 공시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예언서의 본래 의도와는 무관하게 독립적
으로 본문을 읽는 독자가 주인공이 되는 해석학을 전개하고 있다.이러한
시대상황에서 신앙공동체는 어떻게 에스겔 예언자의 예언을 해석할 것인
가?본 논문에서는 성경 본문을 정경을 수용하는 해석학적 입장을 견지하
였다.
이스라엘 성전은 기나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만큼 특정 모델을 결정적
인 형태로 볼 수 없다.이 성전은 고대 중동지역에 자리한 만큼 그 지역의
-65-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성전내부를 이루는 3분한 구조는 유사한 특징으
로 볼 수 있다.그러나 광야시대의 성막은 독특성을 가지고 있는바 그것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만든 것이 아니라 모세라는 선지자를 통해 설계도
(출 25:9)가 계시됨으로써 건축된 것이다.이것은 일종의 노천신전으로서
광야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신앙적인 차원에서 원심력과 구심
력을 가진 준거점 역할을 담당하였다.에스겔 성전은 솔로몬 성전을 넘어
서서 광야시대의 성막(회막)전승을 따라가고 있다.성전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열두 지파의 구조는 성막을 중심으로 한 배치구조와 흡사하다(민 2
장;겔 48장).따라서 에스겔 성전은 성막의 확대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출애굽의 성소가 성막이라면 출바벨론의 성소는 에스겔 성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성막은 야웨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계셔서 그들과 함께
동행하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전능하신 하나님이 회막이라는 노천성막
에서 자기백성과 같이 하시겠다는 것은 여타 가나안 신전이 추구하는 정치
신학과 정반대이다.다른 고대 중동성전과 마찬가지로 이스라엘 성전도 정
치적,종교적,경제적 기능을 갖고 있는데 그 당시 역사적 상황으로 볼 때
정치적인 기능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이 세 가지 기능이 점점 혼합됨
에 따라 성전은 종교혼합주의의 온상으로 비화한다.바알신앙과 야웨 신앙
이 동시에 진행되는데,에스겔 8-9장은 예루살렘 성전의 전형적인 타락상
을 보여준다.
솔로몬 성전은 고고학적 발견에서 보는 것처럼 가나안 신전들과 유사
한 측면이 있다.하지만 이 성전의 특수성도 간고할 수 없는데 그것 또한
성막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주도한 성전건축이 아니라 하나님이 계시하신
양식대로 지어졌다는 사실이다.성전 봉헌기도에서 보는 것처럼 하나님은
성전에 당신의 이름을 두시겠다고 약속하셨다.그 대신 조건이 있었는데,
하나님의 계명과 율법을 지킬 때이다.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기준을 통과
하지 못했다.제 1성전을 직접 건축한 솔로몬이 먼저 성전을 이방적인 것
-66-
으로 더럽혔다.결국 그의 아들 르호보암 이후 북 이스라엘과 남유다는 성
전의 거룩성을 유지하지 못함으로써 마침내 주전 587년 성전파괴라는 대파
국을 초래하였다.
바로 이때 바벨론으로 끌려간 포로공동체에게 에스겔이라는 예언자가
나타나 성전 환상예언을 통해 포로민들에게 하나님의 놀라우신 계획을 선
언하기에 이른다.그것은 포로공동체 가운데 당신이 계시겠다는 놀라운 선
언이다(겔 37:26-28).예언자는 포로민들에게 야웨께서 보여주신 거룩한 성
전환상을 보여준다.더렵혀진 성전을 떠났던 야웨의 영광이 성전으로 다시
돌아오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자신들이 약속의 땅에서 저질렀던 악행들을
회상한다.그 결과 예루살렘 성전은 야웨 하나님의 고발을 받아 심판을 받
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었음이 밝혀진다.본문 43장 1-12절에 관한 주석
적 연구를 통해 우리는 '야웨의 영광과 거룩'이라는 성전신학을 발견하게
된다.
신앙 공동체는 각각의 해석학적 입장에 따라 성전 환상본문을 다르게
받아들인다.환상을 문자적이나 혹은 상징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이 땅에
세워질 역사적 지상성전,지상성전의 원형으로서의 하늘성전,종말론적으로
다가오는 성전으로 보는 세 가지 입장으로 나뉘어진다.본문을 어떻게 보
는가에 따라 입장이 미묘하게 틀려지는데 본문 속에서 이 세 가지 주장을
뒷받침하는 요소들이 있다.환상으로 보여진 에스겔 성전은 과연 경험할
수 있는가? 정중호는 가상현실비평 방법을 통해 가상성경을 통한 에스겔
성전 측량장면을 체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마치 입체영화를 보는 것처
럼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에스겔 성전을 체험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에스겔 성전 신학이 무엇인가'라는 핵심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시도해본다.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과의 비교를 통해 양 성전
간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말하는 신
학적인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솔로몬 성전이 다윗이 받은 계
-67-
시대로 지어졌다고 하나 성막의 건립정신과는 다른 모습을 가지고 나타난
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이름을 두시겠다고 말씀하신
다.솔로몬 성전과 에스겔 성전은 핵심부분에서는 거의 모든 부분이 일치
한다.그러나 에스겔 성전은 전반적으로 솔로몬 성전의 전체 틀거리를 변
경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된다.솔로몬 성전과는 감히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초월적인 성전의 모습이 드러난다.여기서 두드러지는 것은 성전의 거
룩성이다.특히 성전 담을 측량하는 장면은 속된 것과 거룩한 것을 구분하
는 전형적인 모습이다.그리고 성전의 우두머리라고 할수 있는 대제사장이
나타나지 않음으로 해서 이 성전은 보다 더 높은 의미가 담겨있는 것으로
보인다.과연 이 성전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성전인가?이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서는 본문 말씀을 들었을 것으로 보이는 포로기 신앙공동체의 입장으
로 되돌아가야 한다.성전 환상의 말씀을 들은 공동체는 이 환상성전이 어
떻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까?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공동체가 현재 처한
삶의 자리이다.그들은 현재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와 있는 상태이다.따라
서 그들에게는 이 환상성전은 그 당시 이루어질 수 없는 미래의 사건이다.
지금 그들의 당면 과제는 포로상태에서 과연 자신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가이다.이 때 예언자는 그들에게 소망과 회복의 말씀을 선포한다.성전에
다시 나타나신 야웨의 영광을 보았다면 그들에게는 아직 희망이 있다.자
기들 가운데 야웨 하나님이 계시다면 그것보다 더 큰 증거는 없다.따라서
그들에게 이 성전은 종말론적 이다.제 2성전이 에스겔 성전의 역사적 성
취라고 보아도 무망한 것은 아직도 그들에게 보이는 성전 개념이 중요했을
것이라는 것이다.포로기 직후 학개,스가랴 선지자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일 먼저 할 일이 성전재건이라고 외쳤다.시대정황으로 올 때 예언자 신
분을 가진 그들은 이스라엘의 고대 성전전승을 다 알고 있을 것으로 보아
야 한다.그렇다면 그들에게 에스겔 예언이 전해졌다고 보아야 한다.바벨
론 포로 공동체가 귀환 후 제일 먼저 한 일이 성전재건이었다.이것은 포
-68-
로 귀환민들에게 있어서 성전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였음을 보여준다.
이제 제 2성전기가 시작되었다.이 성전은 과연 야웨의 거룩성에 합당
한 제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에스겔 예언자가 누누이 강조한 것은
야웨의 거룩한 이름에 합당한 공동체를 이루는 일이다.만일 이 기준에 부
적합하다면 다시 이 성전은 심판 받을 수밖에 없는 하나의 건축물에 불과
하다.결국 이스라엘 공동체는 다시 실패한다.주후 70년 예루살렘 성전은
폐허더미가 되면서 이제 보이는 성전은 영원히 사라졌다.이제 자기 백성
과 함께 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수포화되었는가?에스겔은 이스라엘
고대의 야웨 전승과 후대의 유대종교를 이어줄 수 있는 하나의 좌표가 될
수 있으며 이 같은 점들의 연결은 이스라엘 종교역사를 형성함 이 역사는
그리스도를 낳게 한 하나님의 구원역사가 된다.유대 공동체와 기독교 공
동체는 여기서 각 공동체의 입장에 따라 노선을 정하였다.유대 공동체는
다시금 율법 공동체로 방향을 잡았다.이에 대하여 기독교 공동체는 그리
스도 예수를 통해서 종말론적인 에스겔 성전이 완성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69-
참고문헌
1.단행본
구덕관.「구약개론(상)」.서울:대한 기독교 출판사,1993.
.「구약개론(하)」.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93.
김중은.「거룩한 길 다니리」.서울:한국성서학연구소, 2001.
박철우.「에스겔」.서울:대한기독교서회,2010.
왕대일.「구약성서이해」.서울:성서연구사,1993.
이학재.「에스겔 어떻게 읽을 것인가」.서울:성서유니온선교회,2002.
장일선.「이스라엘 포로기 신학」.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8.
.「히브리어 예언서 연구」.서울:대한기독교서회,2002.
2.번역서적
노만 K.갓윌드.「히브리성서 2-사회․ 문화적 연구」.김상기 역.서울:
한국신학연구소,1994.
Anderson,G.W.「이스라엘 역사와 종교」.김찬국 역.서울:대한기독교
서회,1994.
Blenkinsopp, Joseph. 「에스겔」. 박문재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Childs,B.S.「구약정경개론」.김갑동 역.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87.
Eichrodt,W.「에제키엘」,김상돈· 김상기 역.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1.
Fohrer,G.「구약성서개론(하)」.방석종 역.서울:성광문화사,1992.
Hanson,Paul.「묵시문학의 기원」.이무용,김지은 역.서울:크리스챤다
-70-
이제스트,1996.
Keil,C.F.andF.Delitzsch,「에스겔」,송종섭 역.서울:아가페출판사,
1995.
Koch,Klaus.TheProphets,「예언자들」.강성열 역.고양:크리스챤다이
제스트,2001.
Lasor,W.S.D.A.Hubbard,andF.W.Bush,「구약개관」.박철현 역.
고양:크리스챤다이제스트,2003.
3.국외문헌
Abba,R.“PriestandLevitesinDeuteronomy.”VT,Vol.27.(1977):3.
Ackroyd,P.R.The History ofIsraelin the Exilic and Poste-exilic
Periods.Tradition & Interpretation.Essaysby Membersofthe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y.Ed.By G.W.Anderson.
Oxford:ClarendonPress,1979.
Clements,R.E.TheEzekielTradition:ProphecyonaTimeofCrisis.
Israel'sPropheticTradition,EssaysinHonorofPeterAckroyd,
Edited by Richard Coggins. Anthony Phillips. and Michael
Knibb.Cambridge:CambridgeUniv.Press,1984.
Cody,A.A history ofOld TestamentPresthood.Rome:E.Pontoficio
InstitutoBiblico,1969.
Douglas, George C. M. "Ezekiel Temple." The Expository Times,
(1987/8):366.
Gese,H.Der Verfassungsentwurfdes Ezechiel.BHT 25;Tübingern:
Mohr,1957.
Hals,R.M.Ezekiel.The FormsoftheOld testamentLiterature.Vol.
19.Michigan:GrandRapids,1989.
-71-
Hals,R.M.Ezekiel.TheFormsoftheOld TestamentLiterature.Vol.
19.Michigan:GrandRapids,1989.
Haran, Menahem. Temple and Temple-Service in Ancient Israel.
Oxford,1978.
Hoerth,Alfred J.Archaeology & The Old Testament.Grand Rapids.
Mich:BakerBooks,1998.
Klein,Ralph.W.EzekielTheProphetand HisMessage.University of
SouthCarolinaPress,1988.
Levenson,J.TheologyoftheProgram ofRestorationofEzekiel40-48.
HSM 10;Missoula:ScholarsPress,1976.
Macholz,G.Ch."Noch einmal:planungerfurden Wiederaufbau nach
derKastastrophevon587,"VT 19(1969):322-352.
Mays,J.L.Exekiel.Second Isaish.Proclamation Commentaries.The
Old Testament Witness for Preaching.Philadelphia:Fortress
Press,1978.
Newsome,J.D.TheHebrew Prophets.Atlanta:JohnKnoxPress,1979.
Niditch,S.Chaosto Cosmos:Studiesin BiblicalPatternsofCreation.
ScholarsPressStudiesintheHumanities6;Chico.Cal:Scholas
Press,1985.
Smith,M.S.Seeing God in the Psalms: The Background to the
BeatificVisionintheHebrew Bible,CBQ vol.50.No.2(1988.
Apr.):179.
Spencer,J.P.Aaron.Anchor Bible Dictionary.Vol.1.New York:
DoubleDay,1992.
Weavers,J.W.Ezekiel.The New Century Bible Commentary.Soft
backedition.GrandRapids:Wm.B.EerdmansPub.Co,1982.
-72-
Zimmerli,W.Ezekiel2.A Commentary on the Book ofthe Prophet
EzekielChapter25-28.Translatedby JamesD.Martion.Edited
by PaulD.Hanson with Leonard Jay Greenspoon.Philadelphia:
FortressPress,1983.
.Ezekiel.TheInterpreter'sDictionaryoftheBible.Suppl.
vol.1.Philadelphia:FortressPress,1976.
4.논문
김금희."구약의 속죄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신학석사학위 논문.장로회
신학대학교,2002.
김성익."제 3성전의 구조와 신학에 관한 연구."「신학리뷰」4(1996):57.
김지은. "바벨론 유다 포로민들의 삶." 「구약논단」7집 (1999. 10):
122-123.
."학개의 성전 재건선포에 대한 역사적 연구."「구약논단」(2000):
85.
왕대일."예루살렘성전-그 신학적 고찰."서울:감신대 제 9회 성서학연구
소 심포지움/제3회 고고학회 연례학술대회,2002.
.“레위기의 구조,레위기의 신학.”「신학과 세계」제 29호,(1994
년 가을):16.
.“회막,성전,회당 그리고 교회.”「신학과 세계」통권 제 33호,
(1996년 가을):27.
Sweeney,Marvin.“사독계열 제사장,포로기의 환상 예언자 에스겔.”왕대
일역.「구약성서,읽기와 해석하기」.서울:감신대성서학 연구소,
2001.

출처 : 화생방벙커시스템/대피챔버
글쓴이 : O2 Capsule 원글보기
메모 :